
최근 혼합간장에서 발암 가능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사례가 잇따르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전통 한식간장과 산분해(화학) 간장, 양조간장 등 서로 다른 제조방식의 간장을 구분하지 않고 ‘간장’으로 단일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논란이 일고 있다.
13일 송옥주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화성시갑)이 식약처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식품안전정보원은 올해 3월 25일부터 12월 15일까지 ‘식품공전 분류체계 및 기준·규격 개선 연구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연구에는 간장 유형 단일화 필요성 검토가 포함돼 있다.
이번 연구는 지난 2023년 8월 식약처가 중소기업중앙회 간담회에서 장류협동조합의 요구를 접수하면서 시작됐다.
협동조합은 현행 5종 간장 유형을 통합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식약처가 이를 검토에 착수한 것이다.
현행 식품공전은 ▲전통 메주를 이용한 한식간장 ▲탈지대두를 염산으로 분해한 산분해간장 ▲콩과 볶은 밀·보리를 종국균으로 발효한 일본식 양조간장 ▲산분해·양조 혼합간장 등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이 이뤄질 경우, 제조방식이 전혀 다른 제품들이 모두 같은 ‘간장’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안전성 논란도 여전하다.
식약처는 올해 4월 21일과 6월 10일, 염산 분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암 가능 물질 ‘3-MCPD’가 기준치를 초과한 산분해·혼합간장 8종을 전량 회수했다.
산분해간장의 안전성 문제는 지난 1996년부터 꾸준히 제기돼 왔으며, 2022년에는 기준이 유럽 수준(0.02㎎/㎏ 이하)으로 강화됐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또다시 문제가 불거졌다.
간장 유형 단일화가 현실화될 경우, 소비자의 알 권리 침해와 함께 전통장류 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식품공전에서 간장 유형 구분이 사라지면 전통장류 육성에 차질이 빚어질 것”이라며 “간장 유형 통합에 반대한다”고 밝혔다.
송 의원은 “메주를 띄워 장기간 발효시키는 전통 방식과, 염산으로 단백질을 분해해 몇 시간 만에 생산하는 화학 방식이 어떻게 같을 수 있느냐”며 “전통식품은 K푸드 세계화의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전국먹거리연대·GMO반대전국행동·국제슬로푸드한국협회·한국장류발효인협회·두레생협연합회 등 농업·전통식품·소비자 단체는 ‘장류 식품공전 개악 저지를 위한 대책위원회’를 결성, 간장 유형 통합 저지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