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무릎통증, 병원 관절염 치료는 어떻게 진행하나

 

인구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나이와 함께 찾아오는 각종 퇴행성 질환의 발생률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주목해야 할 질환 중 하나가 바로 무릎 관절염이다. 무릎은 체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걷기, 앉기, 계단 오르기 등의 일상 동작에서 끊임없이 사용된다.

 

이로 인해 무릎 관절에 퇴행성 변화가 빠르게 시작될 수 있으며, 무릎 관절염의 증상도 가속시킬 수 있으니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은 “무릎뼈 끝에 자리하고 있는 무릎 골연골은 뼈의 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무릎 관절염이 진행될수록 골연골 조직은 점차 소실된다. 무릎 골연골이 손상되면 무릎에 통증 외에도 무릎 부종 및 잠김 현상, 관절 불안정증, 염발음, 대퇴근육의 약화, 무릎관절 가동 범위 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나므로 이러한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정확하게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무릎 골연골의 손상이 심하지 않은 질환 초기의 환자는 약물 복용 및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BMAC)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 내 주사하는 것으로, 주사 치료만으로 골연골 조직의 재생 도모가 가능한 방식이다”고 전했다.

 

김상범 원장은 “무릎 관절염 환자는 질환의 발생을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생각하고 치료를 하지 않은 채 방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질환을 계속 방치하여 골연골의 손상이 심해지면 결국 수술적 치료가 필요해진다. 또한 무릎뼈가 깎여나가 뼈 손실까지 발생한 무릎 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무릎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도 고려할 수 있다”고 전했다.

 

무릎 관절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평소 무릎에 과도한 부담을 주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또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