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거점 공공병원으로서 공공보건의료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적십자병원이 의사 구인난으로 의료공백이 반복되고 있다.
특히 지방의 경우, 높은 연봉을 제시해도 채용이 쉽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박희승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남원장수임실순창·보건복지위원회)이 대한적십자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6곳의 적십자병원 중 올해 4곳에서 일부 진료과 휴진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유는 전문의 퇴사, 의료취약지 파견의사 진료 종료, 구인난 등으로 인한 인력 부족이었다.
휴진 사유별로 보면, 전문의 퇴사 및 구인난으로 서울적십자병원 피부과는 올해 8월 1일부터 한 달간 진료를 중단했다.
서울은 수도권에 위치한 덕분에 비교적 빠른 충원이 가능했지만, 지방 병원들은 상황이 더욱 심각했다.
상주적십자병원 외과는 올해 3월 31일부터 7월 10일까지 약 3개월간 휴진에 들어갔다.
3차례 공고 끝에 연봉을 3억 2000만~3억 30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한 뒤에야 간신히 채용이 이뤄졌다.
또 지난해 8월 21일부터 휴진했던 이비인후과 역시 올해 7월 21일에야 3차례 공고 끝에 진료가 재개됐다.
의료취약지 파견의사 진료 종료에 따라 통영적십자병원 신경과는 올해 2월 14일부터 6월 21일까지 4개월 넘게 휴진, 거창적십자병원 정형외과는 올해 9월 1일부터 휴진 상태로, 연봉 4억 2000만원을 제시했지만 여전히 의사 채용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거창적십자병원은 지난해에도 공중보건의 소집해제 및 구인난으로 영상의학과 의사를 채용하기 위해 무려 10차례 공고를 냈고, 결국 연봉 5억원을 제시해 간신히 충원한 바 있다.
인력난은 단순히 채용 문제에 그치지 않고, 높은 퇴직률로 이어지고 있다.
올해 8월 기준 퇴직률은 △거창 30% △인천 25% △상주 23.8%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적십자병원을 찾은 환자는 총 92만 3908명으로, 입원환자 18만 6362명, 외래환자 73만 7546명에 달했다.
이처럼 적십자병원은 연간 90만명이 넘는 환자가 이용하는 공공의료기관이지만, 인력난으로 인해 취약계층의 진료 공백이 직접적인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박희승 의원은 “공공의료기관의 인력난이 반복되면서 취약계층이 의료 사각지대에 놓이고 있다”며 “특히 지방은 결원 발생 시 고액의 연봉을 제시해도 의사를 구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거점공공병원 등 공공의료 부문의 안정적인 인력 공급을 위한 근본적 대책으로서 공공의대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