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품질이 우수한 국산 사료용 옥수수 ‘광평옥’ 과 ‘다청옥’ 종자를 생산하고 있다. 사료용 옥수수 종자가 필요한 농가는 전국 농·축협(2021년 10월25일까지)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 2022년 3월중에 종자를 수령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은 외국품종을 국산으로 대체시켜 조사료 생산 확대를 통해 사료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광평옥(2000년)’과 ‘다청옥(2016년)’을 개발했다. ‘광평옥’은 수확기 늦게까지 푸른 잎이 유지되는 후기녹체성이 우수해 재배 농가 선호도가 높으며, 특히 남부지역 옥수수 재배 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에도 강한 품종이다. 건물수량이 ha당 22톤이고, 쓰러짐에 강하여 재배 안정성이 뛰어나 전국에 많이 보급되는 품종이다. ‘다청옥’은 2016년에 개발된 품종으로, 건물수량은 ha당 24톤이고, 다른 품종보다 이삭길이가 길고 쓰러짐에 강하다. 또한, TDN(Total digestible nutrients,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이 높고, 줄기와 잎 부분의 조단백질 함량이 많아 영양가치가 높다. 재단 김종길 종자사업본부장은 “국내산 사료용 옥수수 종자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고품질의 ‘광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조사료 생산 확대를 위해 생산성과 영양가치가 우수한 국산 사료용 옥수수 종자 ‘광평옥’ 신청 방법을 23일 소개했다. ‘광평옥’ 종자 우선 공급 신청은 10월 25일까지 전국 농협(축협), 한국낙농육우협회로 하면 된다. 이후 내년 1월부터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으로 직접 신청하면 된다. ‘광평옥’은 늦게까지 잎이 푸르게 유지되는 후기 녹체성이 우수해 재배 농가에서 선호하는 품종이다. 말린 수확량이 ha당 21.5톤으로 수입종보다 4% 많고, 외국 품종에 비해 가격도 29∼43% 저렴하다. 또한, 줄기가 강해 비바람에 잘 견디고 남부지역에서 주로 발생해 문제가 되는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에 강하다. 국내 사료용 옥수수 재배 면적은 2020년 기준 1만3000ha로 국내산 종자 사용 비율은 29%이다. ‘광평옥’은 국산 젖소를 기르는 낙농·축산농가가 많은 경기·충청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2020년 재배 추정 면적은 3,160ha이다. 농촌진흥청은 경북 경주시 내남면에서 경주시농업기술센터와 함께 ‘광평옥’, ‘신황옥’ 등을 시범 재배했다. 2022년에는 경주 지역에 외국 품종을 대체하여 ‘광평옥’ 재배면적을 확대할 계획이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국산 사료용 옥수수 ‘광평옥’ 종자를 공급한다고 밝혔다. 사료용 옥수수 종자가 필요한 농가는 10월말까지 전국 농·축협을 통해 신청할 수 있고 2021년 3월중에 종자를 수령할 수 있다. 국산 사료용 옥수수 ‘광평옥’은 수확량이 많고 쓰러짐에도 강할 뿐 아니라, 특히 남부지역 옥수수 재배 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검은줄오갈병(흑조위축병)에도 강한 품종이다. 농촌진흥청은 외국품종을 국산으로 대체시켜 조사료 생산 확대를 통해 사료자급률을 높이기 위해 지난 2000년에 ‘광평옥’을 개발했다. ‘광평옥’은 수확기 늦게까지 푸른 잎이 유지되는 후기녹체성이 우수해 재배 농가 선호도가 높으며, 건물수량이 ha당 20톤으로 생산성이 높고 가격도 수입종보다 20%∼40%정도 저렴하다. 또한 재배 안정성이 뛰어나 전국에 많이 보급되는 품종이다. 실용화재단 김종길 종자사업본부장은 “국내산 사료용 옥수수 종자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고품질의 ‘광평옥’ 종자를 확대 보급해, 축산농가의 소득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앞으로 농가에서 필요한 종자를 모니터링 하여 수요가 많은 우수종자가 빠르게 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논에서 사료용 옥수수를 안정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요령을 소개했다.사료용 옥수수는 여름철 대표적인 사료작물로서 생산량이 많고 영양분이 풍부하며, 동계사료작물과 연계해 연중 생산이 가능하다.하지만 옥수수를 논에 재배하면 습해를 받기 쉽고 토양 물리성이 나빠 수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논 재배에 적합한 재배 관리와 품종 선택이 중요하다.사료용 옥수수를 논에 재배할 때에는 파종 전 트랙터에 심토파쇄기를 부착해 땅속 30∼40cm 깊이로 갈아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토양의 물리성을 좋게 하여 건물수량이 24% 까지 많아진다.또한 옥수수는 습해에 약하므로 비가 많이 와도 24시간 이내에 배수가 가능한 논을 선택하고 이랑을 만들어 습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재식 밀도는 밭 재배 기준인 10a당 6,600주보다 적은 6,000주 내외로 하면 옥수수의 쓰러짐을 줄일 수 있다.사료용 옥수수 논 재배는 재배기술과 더불어 논에 잘 적응하는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광평옥’ 은 현재 많이 재배되고 있는 수입종(P3394) 보다 논 재배 시 건물 생산량이 많고 수확기 이후 늦게까지 잎이 마르지 않는 장점이 있다.‘광평옥’ 종자 신청은 시·군 농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장원석)은 국내산 사료용옥수수 ‘광평옥’ 보급종 종자 60톤 등 잡곡종자를 올해 12월부터 농가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사료용 옥수수 ‘광평옥’은 2000년에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품종으로 환경에 대한 적응성이 높고 쓰러짐에 강하며, 생육후기까지 녹체성이 우수하여 축산농가에서 선호하는 품종이다.우리농가의 사료용옥수수 종자의 국산 품종 보급률은 약 28%로 나머지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입산 종자 가격은 국내 생산 종자 의 2배 정도 높아서 축산농가의 부담이 되고 있다.강원도 영월군에서 채종한 약 60톤의 종자를 11월 초에 수매하여 정선, 포장 후 12월 하순부터 전국의 축산농가와 조사료 경영체에 공급할 예정이다.올해 공급할 종자 60톤은 내년에 조사료포 2,000ha에재배할 수 있는 종자량으로 약 147,000톤의 양질 사일리 지 생산이 가능하여 축산 농가의 소득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농업기술실용화재단의 2014년도 사료용옥수수 보급종 종자 생산 목표량은 80톤으로, 이 경우 재단에서 공급하는 국산 종자의 보급률을 27%로 높일 수 있다.향후 5년내로 재단 생산 사료용옥수수 종자 보급률을 50%까지 높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