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관령’...피톤치드 발생량 으뜸
동부지방산림청은 대관령 치유의 숲 조성사업을 추진하면서 치유의 숲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이해 증진을 위해 7개월간 대관령 지역의 피톤치드 발생량을 포함한 치유인자들을 조사하는 연구용역을 수행했다.본 연구용역은 충남대 박범진 교수팀이 수행했으며 동부지방산림청에서 최종보고회를 가졌다. 우리나라 소나무 숲에서도 편백나무 숲 못지않게 많은 피톤치드가 나온다는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는 일본이 원산지인 편백나무(히노끼)에서 피톤치드가 가장 많이 나온다고 알려져 왔다. 올해 7월부터 8월까지 전남 장성 편백나무 숲과 대관령 치유의 숲 대상지인 소나무 숲에서 각 3회에 걸쳐 피톤치드 양을 측정 비교한 결과, 편백나무 숲보다 소나무 숲에서 더 높게 나왔다. 측정시기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나 기존의 문헌과 다르게 소나무림의 대기 중 피톤치드 농도는 편백림과 비교하여 뒤지지 않는 수준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함흥식 동부지방산림청 산림경영과장은 “본 연구용역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관령 치유의 숲 대상지가 전국 여느 치유의 숲 못지않은 치유효과가 뛰어난 지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향후 대관령 치유의 숲의 건강증진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과 치유의 숲의
- 박시경 한국농촌경제신문
- 2013-11-28 1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