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와 광주전남 혁신도시 농업분야 공공기관, 지역 교육청이 협업해 진행한 미래농업 인재 양성을 위한 2021년도 오픈캠퍼스 수료생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농업인재 양성을 위한 오픈캠퍼스는 2019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6개 기관 공동주관으로 ‘빛가람 미래농업인재 육성과정’을 신설해 첫해 40명에서 올해 67명까지 수료생이 늘었다. 대학생뿐 아니라 지역 농업계 고교생을 위해서도 지난해부터 한국농어촌공사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세 기관이 협력해‘미래 영농인 양성과정**’를 신설해 60명의 수료생을 배출했다. 특히, 이번 오픈캠퍼스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강의 주제와 내용, 담당 강사의 전문지식, 취업준비 도움에서 모든 응답자가 도움이 됐다고 답변하며 전체만족도는 5점 만점에 4.6점으로 나타났다. 그중에서도 코로나 19가 지속되면서 취업 준비 등에 어려움을 겪었는데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농업관련 정보와 취업 준비를 위한 모의면접 등을 체험해 볼 수 있어서 큰 도움이 됐다는 개별의견이 가장 많았다. 고교생의 경우, 오픈 캠퍼스를 통해 얻은 정보가 진로 탐색에 좋은 기회가 되었다는 의견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병석)은 미래농업을 이끌어갈 후계 인재양성을 위해 농업 꿈나무 디딤돌 프로그램 ‘그린 내일 학교’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농기평은 지역사회 공헌활동의 일환으로 미래자산이자, 농식품 분야의 핵심 동력으로 거듭날 미래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전남 지역 농업계 고등학교에 맞춤형 교육을 지원한다. 그린 내일(My job&Tomorrow)학교는 ‘나의 직업 및 내일을 준비하는 배움터’란 뜻으로, ‘변화하는 첨단 미래농업 및 농식품 기술’을 주제로 스마트팜, 미래 대응식품, 디지털기술 등에 대해 전문가 특강과 진로상담 등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팜 특강을 희망한 장성하이텍고등학교(9.7.)와 전남생명과학고등학교(9.28.)를 시작으로 24일까지 신청을 받아 맞춤형 교육을 진행 할 예정이다. 한편 농기평은 인재양성 지원부터 산업인력 배출까지 전주기적 관점에서‘농식품 R&D 미래인력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으로 지역상생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오병석 원장은 “농식품 분야의 꿈나무들이 농식품 미래기술에 대한 교육을 통해 청년 인재로 거듭나는 발판이 되었으면 한다”며“전남 소재 공공기관으로서 지역과 연계한 다양한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이 유엔식량농업기구와 농업기술분야에서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공식화했다. 농촌진흥청은 유엔식량농업기구(FAO)와 본격적인 농업기술협력을 위해 24일, 본청 국제영상회의실에서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양국 간 원격으로 진행된 이번 체결식에는 허태웅 농촌진흥청장과 엘리자베스 베츠돌(Elizabeth Bechdol) FAO 사무부총장이 참석해 협약서에 서명했다. 이번 협약은 미래농업을 주도할 새로운 기술 개발과 두 기관의 경험과 기술을 활용하여 국제사회의 식량안보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추진됐다. 한국과 FAO 간 협력의 역사는 FAO의 기금과 기술지원을 받아 토양과 토양비옥도 조사사업을 시작했던 196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를 토대로 농촌진흥청은 세계에서 가장 세밀한 전국 토양지도를 제작하여 활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농촌진흥청의 경험을 바탕으로 아시아 13개국을 위해 아시아 토양지도와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사업을 FAO와 공동으로 추진 중이다. 허태웅 청장은 “기후변화 대응 내재해성 품종개발 및 드론·위성 등을 활용하는 정밀농업 등 새로운 기술 개발을 위해 FAO와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국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