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박철웅)은 지난 11일 전국 165개 지방농촌진흥기관(농업기술원, 농업기술센터)을 대상으로 고품질 미생물 생산·보급을 위한 ‘친환경농업미생물 품질관리안내서’를 배포했다고 밝혔다. 이번 안내서는 다용도로 활용되는 농업미생물의 품질관리기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자체 친환경미생물배양센터의 안정적 운영에 도움이 되고자 마련됐다. 주요 내용은 △‘비료관리법’ 미생물비료, △‘사료관리법’ 보조사료(생균제), △‘친환경농어업법’ 유기농업자재 미생물제제 등 관련 법령정보와 재단 미생물통합품질관리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친환경농업의 확대와 유용미생물 사용 효과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면서 지자체 미생물 보급사업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한편 토양, 작물, 축산 등 농업현장 전반에서 사용되는 미생물의 용도가 세분화·전문화되면서 용도별 품질관리매뉴얼을 갖추고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담당 공무원의 고충도 커지고 있다. 이에 재단은 농업미생물 국가공인 분석기관으로서 용도별 상이한 관련법과 검사항목, 주기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품질관리 혼선을 미연에 방지하고, 쉽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제공을 위해 품질관리안내서를 제작·배포하게 됐다. 해당 자료는
30일 유튜브·페이스북 등 온라인 생중계 28일까지 국내 농기자재 기업 사전등록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원장 신명식)은 포스트 코로나시대를 대비해 K농기자재 수출 확대를 위한 ‘2020 농기자재 국제워크숍’을 오는 30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농기자재 수출활성화사업’의 일환으로, 국내업체의 수출 애로사항 해소 및 수출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것으로 워크숍은 수출국의 품목 담당자(공무원, 바이어 등)와 국내외 기업 관계자들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수출 트렌드 및 정책 변화 공유 및 공동대응 전략 논의’를 주제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하며, 유튜브와 페이스북 등 온라인 채널을 통해 생중계한다. 러시아, 베트남을 비롯한 10여개 수출 유망국의 공무원 및 바이어는 현지의 농기자재 정책, 통관 및 인·허가 절차, 수요 동향 및 유통채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KOTRA와 공동 운영하는 스마트팜 특별세션에서는 현지 무역관(러시아, 카자흐스탄, 베트남)이 국가별 코로나19 대응 상황을 공유하고 스마트팜 전문기관 및 바이어를 연계하여, 최근 국내 기업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신남방·신북방 국가와의 소통 기회를 집중 제공할 예정이다. 농기계, 농약, 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