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대 트루스포럼에서 제기된 대자보의 선거부정 논란은 우리 사회에 중요한 화두를 던지고 있습니다. 특히 2002년 전자개표기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된 부정선거 의혹은 공정한 선거 과정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기술적인 문제가 아닌, 국민의 민주적 권리와 직결된 문제입니다. 2014년 지방선거부터 전면 도입된 사전투표 시스템은 이번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사전투표는 본래 유권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제도였지만, 일부에서는 이를 부정선거의 가능성이 높은 시스템으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혹을 해소하지 않는다면, 국민의 선거 참여도와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는 계속해서 낮아질 것입니다. 정부와 선거관리위원회는 이러한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투명하고 공정한 선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합니다. 특히 전자개표기와 사전투표 시스템의 보안과 공정성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독립적인 전문가들로 구성된 검증 기구를 운영하고, 모든 절차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국민의 검증권 보장은 단순한 감시 역할을 넘어, 민주주의의 건강한 작동을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선거 과정의
육우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박대안)는 지난 5일 서울 서초구 제2축산회관에서 2019년 제2회 육우자조금 대의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2019년 사업진행 경과 보고 및 사업예산 변경 보고에 이어 2020년도 육우자조금 사업계획(안), 선거관리위원회 구성 안건이 논의됐다. 이날 참석한 대의원들은 2020년 사업계획 안건에 대해 육우농가를 대상으로 하는 자조금 설명회를 대신해 지역 시식행사를 늘려야 할 것을 주문했다. 그동안 소비자와의 만남이 적은 것을 지적하며 지역행사나 지역축제에 참가해 소비자들에게 육우를 알리는 시식행사 개최 확대를 건의했다. 또한 지금 진행중인 농장꾸미기 캠페인 사업을 친환경인증농장 지원사업으로의 변화를 제시하기도 했다. 2020년 대의원회 의장, 관리위원장 선출을 위한 선거관리위원으로는 홍명기 위원, 김미숙 위원, 황선노 위원, 안상겸 위원, 김연숙 위원 등 5인이 구성됐다. 이외 기타 안건으로 육우가 학교 급식 유통 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추가 예산 편입 등 의견이 제안되기도 했다. 박대안 육우자조금관리위원장은 “올해는 아프리카 돼지열병 변수로 활동에 있어 제약이 있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에게 육우를 알리기 위한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