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가을 파종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청보리, 호밀 등 월동 사료작물 생육이 이상기상 영향으로 좋지 않아 올 조사료 수급상황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새로운 사료화 방안이 제시된다.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조사료 수급상황이 어려운 시점에서 전국적으로 자생하고 있는 갈대, 억새, 새, 띠, 산조풀과 같은 야초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 경영비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생육시기별 사료가치와 수확적기 등 사료화 이용방안을 제시했다.
이들은 야산, 들판, 간척지, 습지, 하천부지 등에 군락을 형성하면서 자라며, 수량은 곤포 기준으로 ha당 7∼12톤 정도이다.
야초는 5월부터 왕성하게 자라기 시작해 생육이 진행될수록 수량과 건물비율은 높아지나 사료가치와 소화율, 가소화 건물수량은 낮아져 가축의 사양능력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볏짚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장마 전인 6월 안으로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늦어도 7월 중순까지는 이용하는 것이 좋다.
실제 6월에 수확한 갈대의 조단백질 함량은 5.5 %인데 반해 볏짚은 5.1 %, 갈대의 소화가 가능한 영양소총량(TDN) 함량은 53.3 %인데 반해 볏짚은 43.7 %로 갈대의 사료가치가 더 높았다.
그렇지만 야초는 재생력이 좋지 않아 지속적으로 사료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1년에 한 번 수확하는 것을 권장한다. 왜냐하면 1차 수량이 연간 수량의 70 % 이상을 차지하며 재생수량의 기여도는 낮고, 연속적으로 베면 야초자원이 점차 사라지기 때문이다.
만일 여름까지 수확하지 않았을 경우, 늦가을에라도 한 번 수확해 주는 것이 사료가치는 낮지만 당해 연도 조사료 확보와 다음해 야초 생육을 촉진시키고 사료가치도 높여줘 유리하다. 또 토양의 부영양화를 막아줘 환경에 대한 부담도 덜어줄 수 있다.
이때 예취(베기)높이는 지면에서 15∼20cm로 다소 높게 베주는 것이 권장되는데, 곤포 작업 시 흙이나 이물질의 혼입을 막아주고 다음해 야초의 재생을 좋게 하기 때문이다.
하천변이나 수질오염 우려지역이 아니라면 야초의 수량 증대를 위해 질소비료 시용도 권장된다. 수량이 많으면 그만큼 경영비를 줄여줄 수 있다. 야초의 생육이 왕성해지는 4월 중하순 경에 ha당 질소 60∼100kg(요소 130∼220kg)을 시용해 주면 된다.
질소비료를 시용해 줬을 때 조단백질 함량은 5.8 %에서 7.9 %로, 건물 소화율은 46 %에서 56 %로 높아지며, 생초수량은 52 %, 건물수량은 40 %, 가소화 건물수량은 70 % 증가했다.
갈대 사료를 한우에 먹일 때는 가급적 볏짚과 섞어 주는 것이 좋은데, 6월에 수확한 양질의 갈대 사료는 단독으로 먹여도 괜찮다.
급여요령은 갈대와 볏짚을 1:1 중량비로 섞어 육성기부터 비육중기(생후 6∼21개월령) 위주로 급여하고, 비육후기에는 볏짚 단용이 권장된다.
농촌진흥청 초지사료과 서 성 연구관은 “갈대와 같은 야초는 우리의 소중한 조사료자원으로 효율적으로 이용하면 부족한 양질 조사료와 볏짚의 대체효과가 높아 경영비 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라며, “지자체를 중심으로 관내 군부대에 있는 야초의 이용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