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30 (일)

  • 흐림동두천 23.2℃
  • 흐림강릉 23.2℃
  • 서울 24.0℃
  • 대전 24.8℃
  • 대구 24.3℃
  • 울산 24.6℃
  • 광주 24.3℃
  • 부산 24.1℃
  • 흐림고창 24.4℃
  • 흐림제주 27.8℃
  • 구름조금강화 22.7℃
  • 흐림보은 24.6℃
  • 흐림금산 24.4℃
  • 흐림강진군 24.7℃
  • 흐림경주시 24.4℃
  • 흐림거제 24.2℃
기상청 제공

허리디스크 환자, 비수술치료 효과 없다면 수술 고려

 

직립 보행은 인류의 문명을 꽃피울 수 있게 만들어준 매우 중요한 요소지만 그 대가로 인류가 잃은 것이 많다. 대표적인 문제가 바로 척추질환이다. 사족 보행을 하는 동물들에게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척추 질환이 사람에게는 너무나 흔하게 발생한다.

 

특별히 사고를 당하지 않아도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40~50대가 넘어서면 허리디스크 등 각종 척추 질환이 생길 위험성이 높아진다.

 

허리디스크의 정식 진단명은 요추 추간판 탈출증으로, 척추 중에서도 허리 부분의 요추를 구성하는 추간판(디스크)가 손상되어 신경을 자극하는 상태를 말한다. 사람의 척추는 여러 개의 뼈 마디가 다른 조직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되어 있는데 추간판은 뼈와 뼈 사이에 있는 일종의 쿠션 같은 조직이다. 겉의 섬유륜은 질기고 단단하나 내부의 수핵은 수분 함량이 높고 탄력적이기 때문에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분산하며 척추 뼈가 마디마디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도와준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척추 주변 조직의 퇴화가 진행되면 수핵의 수분 함량이 줄어들고 미세한 충격에도 쉽게 파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실제로 교통사고, 낙상 등 심각한 사고가 아니라 재채기, 기침 등 작은 충격만으로 허리디스크가 터져 정형외과를 찾는 환자가 적지 않다.

 

무거운 물건을 허리를 숙여 들어 올리거나 허리의 긴장도가 높아지는 스포츠 등을 하다가 추간판이 손상되어 허리디스크가 생기기도 한다. 심지어 아무 활동도 하지 않았지만 척추가 약해지면서 추간판이 저절로 손상되어 병원을 찾는 경우도 있다.

 

화성 매듭병원 정형외과 정성균 원장은 “퇴행성 변화에 의한 허리디스크는 처음부터 거동이 불편할 정도로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드물고 허리통증이 생겼다가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기를 반복한다. 하지만 한 번 손상된 허리디스크가 자연적으로 치유되지 않기 때문에 지속적인 허리통증과 엉덩이, 허벅지, 종아리, 발로 이어지는 하지방사통이 발생한다면 정밀 검사를 받고 척추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다른 척추질환도 이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을 통해 증상의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행히 허리디스크라 해서 치료가 더 어려워지거나 하지 않으므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요즘에는 약물치료, 주사치료, 도수치료, 신경성형술, 고주파 수핵 성형술 등 다양한 척추질환 비수술치료법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환자들은 비수술치료로 증상을 개선하여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있다. 환자의 증상과 허리 상태를 고려해 비수술치료를 단계별로 적용하며 이러한 비수술치료의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거나 처음부터 증상이 너무 악화된 상태일 때에만 제한적으로 수술을 하게 된다”고 전했다.

 

정성균 원장은 “허리디스크 수술이라고 하면 무조건 거부감을 드러내는 환자도 있지만 신경이 심하게 압박되어 하반신 마비나 근육 위축, 대소변 장애 등이 생기는 상황이라면 하루라도 빨리 수술을 하는 편이 환자에게 유리하다. 신경이 심하게 손상되면 수술 뒤에도 심각한 합병증이 남게 되므로 양방향 척추내시경 수술이나 미세 현미경 수술처럼 최소 침습을 전제로 하는 척추 수술을 통해 척추 건강을 지켜야 한다”고 전했다.

배너
배너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