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최근 들어 옅은 황사와 미세먼지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어 황사·미세먼지의 발생단계별 시설채소와 가축위생관리 요령을 발표하고 농업인들의 세심한 주의를 당부했다. 황사와 미세먼지는 주로 3∼5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는데, 봄철에 많이 발생하는 황사와 미세먼지로 인해 비닐하우스 투광률이 평상시 보다 7.6% 떨어져 작물 생산량이 줄어든다. 또한 가축의 호흡기 질병은 평소보다 29% 증가한다.따라서 황사와 미세먼지로 인한 농업피해를 줄이기 위한 요령은황사·미세먼지 발생 전에는 하우스와 축사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점검하고, 야외에 있는 건초, 볏짚 등은 비닐이나 천막 등으로 덮어둔다.그리고 황사·미세먼지 발생 시에는 하우스와 축사 등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아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고 축사 출입 시 철저한 개인 소독을 실시한다. 시설 원예작물 재배의 경우 황사, 미세먼지로 인해 일조가 부족한 경우 인공조명을 이용해 광을 보충하고, 운동장이나 야외 방목장에 있는 가축을 축사 안으로 이동시킨다.그리고 황사·미세먼지 발생 후에는 시설하우스의 피복재에 부착된 황사, 미세먼지는 동력분무기 등을 이용해 씻어낸다.또한 축사 내·외부, 사료급이기 및 가축
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올 겨울 많은 폭설과 한파가 예상된다는 기상청의 전망에 따라 농가에서 지켜야 할 축사·가축관리 요령을 소개하며 축사시설과 가축의 피해를 최소화할 것을 당부했다. 축사 관리를 위해서는 먼저 폭설 시 축사 지붕에 과도한 눈이 쌓여있지 않도록 쓸어내리거나 축사 내의 온도를 높여줘 축사 지붕의 눈이 빨리 녹아내리도록 해줘야 한다. 노후화된 축사는 폭설에 의해 지붕이 주저앉을 수 있으므로 축사내부 중간에 지붕 버팀목을 미리 설치해 가축의 피해를 최소화 하도록 한다. 축사가 개방된 우사의 경우 폭설 이후에는 축사바닥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볏짚, 톱밥, 왕겨 등을 충분히 준비해 기온이 갑자기 떨어질 경우 깔아주는 것이 좋다.또한 축사 옆 배수로를 깊게 설치해 눈 녹은 물로 인해 습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축사가 폭설로 파손됐을 경우 긴급히 복구해주고 파손된 축사의 전기시설을 점검해 누전이나 합선에 의한 화재 발생이나 감전과 같은 2차 피해를 최소화하고 사료급이와 분뇨처리시설 등을 수리한다. 가축 관리는 기온의 급강하와 같은 외부환경이 갑자기 바뀌면 가축의 생산 활동과 유지에 좋지 않게 되므로 사료는 평소 급여량보다 10 %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