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업소득 전년대비 0.6% 감소 4671만원 농가인구 고령화 심화 가속…223.7만명 지난해 농업생산액은 7.8% 증가한 54조 420억원으로 농가소득 4.3% 증가한 4,697만원이 추정됐으나 올해는 농업생산액이 전년대비 3.2% 감소한 52조 2930원으로, 농가소득도 전년대비 0.6% 감소한 4671만원으로 전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9일 ‘농업전망 2022’를 온라인을 통해 개최하고 올해 농축산 주요 동향을 발표했다. 올해 농가인구는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 전년 대비 0.8%p 증가한 43.9%로 고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전년대비 1.7% 감소한 223.7만명, 농가호수 1.9% 감소한 99.3만호가 전망된다. 그러나 귀농·귀촌 등의 영향으로 농림어업취업자수가 2017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2022년에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은 감소세가 이어질 보여, 경지면적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0.9%, 0.3% 감소해 154만 ha, 157만 ha 전망된다. 또한 가축 사육마릿수도 전년 대비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우제류·가금류 사육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 4.3% 증가한 194백만마리가 예상되고 있다. 식품소비행태 변화
공익직불제·농민수당·농민기본소득 등 농가 소득직접지원제도 제도간 관계 명확하게 설정하고 재정누수 막고 정책효율 높여야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은 17일 ‘농가·농업인 경영안정 및 소득지원 쟁점과 과제’를 주제로 제3차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토론회’를 개최하고 온라인 생중계했다. KREI는 우리 농업·농촌의 현안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올해부터 주요 농정 이슈를 선정해 ‘농업·농촌의 혁신과 미래 토론회’를 순차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지난 9월에 있었던 1차 토론회에서는 농촌 재생과 사회적 경제, 그린뉴딜 시대 농업환경자원 정책과 재생에너지를, 2차 토론회에서는 디지털 기반 스마트농업, 농산물 온라인 유통 혁신,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민 먹거리 보장 등을 주제로 논의했다. 이날 열린 3차 토론회에서는 농가·농업인의 경영 및 소득 안정 문제에 있어 실효성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자 직접지원제도, 농민수당, 농업재해보험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가졌다. 최근 농정, 농가 직접지원 확대와 공익기능 강화 이날 토론회에서 유찬희 KREI 연구위원은 ‘농가 소득 직접지원제도: 쟁점과 과제’란 제목으로 발표했다. 유 연구위원은 “최근 농정은 경쟁
농림축산식품부 이재욱 차관은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2020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를 통해 올해 최고의 우리술로 선정된 15개 제품에 대해 상패와 상장을 수여했다. 이재욱 차관은 올해 5개 부문에 총 246개 제품 중에서 대통령상(1점), 대상(4점), 최우수상(5점), 우수상(5점) 등을 수상하신 분들께 축하를 보내며 “지역의 농산물로 최고의 맛과 품질의 우리술 개발과 국산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로 농가소득 증대에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농협중앙회(회장 이성희) 서울지역본부는 23일 본격적인 휴가철을 앞두고 코로나19에 지친 도시민의 스트레스 치유와 농촌관광 활성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농촌에서 여름휴가 보내기’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날 캠페인은 농협 서울지역본부장, 서울노조위원장, 농협목우촌 대표, 농협파트너스 대표 등 임직원 1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서울지역본부 직거래장터 앞마당에서 진행됐으며, 시민들에게 팜스테이 책자 및 사은품을 나누어주며 농촌에서 여름휴가 보내기에 적극 동참해 줄 것을 홍보했다. 이 날 행사를 진행한 이대엽 본부장은“더욱 많은 도시민들이 아름다운 경관이 있는 농촌에서 여름휴가를 보내어, 농촌에 활기가 생기고 농가소득 증대에도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전했다.
2020년 국내 농업생산액은 전년과 비슷한 50조4380억원이 될 것으로 보이며 공익직불제 도입 효과에 힘입어 농가소득은 4500만원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축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1.0% 증가하고, 중장기적으로 젖소를 제외한 주요 축종의 증가세로 연평균 0.9% 늘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농업전망 2020대회’를 개최하고 2020년 국내 농축산업을 전망했다. 우선 올해 농업생산액을 전년보다 0.8% 증가한 50조4380억원으로 전망했다. 쌀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1.4% 증가하고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19조8660억원으로 전망했다. 2020년 농가소득은 이전소득 증가에 힘입어 4500만원에 근접할 전망이다. 공익직불제 도입 효과로 이전소득은 전년보다 15.2% 증가한 1144만원, 농업총수입 증가, 2018년·2019년산 쌀변동직불금 지급 효과 등으로 농업소득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1295만원,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전년보다 각각 2.9%, 1.9% 증가가 예상된다. ■ 주요 품목별 전망 ▲ 한우 한우 사육 마릿수는 송아지 가격 강세로 농가의 번식의향이 높아짐에
농업인들의 농기계 구입비용 절감 및 적기영농 실현을 위해 포천시농업기술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농기계 임대사업이 농가 소득 증대에 획기적인 효과를 거뒀다. 최근 농업기술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농기계 대여은행을 통해 농기계 46종 220대를 임대한 결과 수혜 농가 1,504농가, 임대 일수 2,091일, 임대 작업면적은 6.099ha로 2011년 대비 180% 증가됐으며, 농기계 임대로 인한 세외수입액은 4,500만원으로 전년대비 211% 증가율을 보였다. 이를 임작업 대행료를 기준으로 환산해 농가 경영비 분석결과 약34억원의 경영비가 절감됐으며, 이는 농가의 소득과 연계되고 농가부채도 대폭 줄이는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돼 농가 소득 보존에 효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