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조재호)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개발한 ‘우리맛닭’ 씨닭(종계) 분양을 올해부터 민간 주도형으로 전환해 2일부터 분양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다. 그동안은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에서 기술이전 실시 계약을 맺은 농가에 우리맛닭을 보급했다. 올해부터는 민간 전문 육종회사인 ㈜한협원종에서 우리맛닭 원종계를 활용해 씨닭을 생산하고 농가에 보급하는 방식으로 전환한다. 우리맛닭 씨닭 분양을 원하는 농가는 5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한협원종 또는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로 신청하면 된다. 우리맛닭은 성장 속도와 이용 목적에 따라 1호와 2호로 나뉜다. ‘우리맛닭 1호’는 육질이 쫄깃하고 고기 냄새가 좋아 백숙 등 국물 요리에 적합하다. ‘우리맛닭 2호’는 육질이 부드럽고 초기 성장이 빨라 5주간 사육하면 삼계탕용, 10주간 사육하면 닭갈비나 닭볶음탕 등의 요리를 할 수 있다. 한편, 국립축산과학원은 우리맛닭 보급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민간 전문 종계장인 ㈜한협원종과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한협원종은 국산 닭 품종 개발에 필요한 순계 자원과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토종닭 산업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박병홍) 국립축산과학원은 2022년 ‘우리맛닭’ 씨닭(종계) 분양 신청을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통해 이달 31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분양을 희망하는 농가는 전화로 신청하면 된다. 농가 수요가 확인된 후 내년 5∼6월경 기술이전 실시 계약을 맺은 농가를 대상으로 씨닭을 나눠줄 계획이다. ‘우리맛닭’은 토종닭 고유의 맛을 살려 개발한 품종으로 1호와 2호로 나뉜다. ‘우리맛닭 1호’는 육질이 쫄깃하고 풍미가 뛰어나 백숙과 같은 국물요리에 적합하며, ‘우리맛닭 2호’는 육질이 부드러우며 성장이 빨라 5주령에 삼계탕용으로 주로 쓰인다. ‘우리맛닭’ 실용닭 분양을 원하는 농가는 가까운 지역 씨닭(종계) 농가에서 구매할 수 있다. 씨닭 농가 정보는 국립축산과학원 누리집( 민원참여 → 우리맛닭)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국립축산과학원이 개발한 토종닭 ‘우리맛닭’ 씨닭을 12월 한달간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을 통해 분양 신청을 받는다고 23일 밝혔다.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는 분양 신청한 농가가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기술이전 실시계약을 맺은 뒤 내년 5월경 ‘우리맛닭’ 씨닭 약 1만 2,000마리 정도를 배부할 예정이다. ‘우리맛닭’ 씨닭(종계) 분양을 원하는 농가는 신청하면 된다. ‘우리맛닭’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복원한 토종닭 중 ‘맛 좋은 종자’, ‘알 잘 낳는 종자’, ‘성장이 빠른 종자’를 교배해 종자의 유래가 분명하고, 토종닭 품종 고유의 특징을 갖고 있다. 현재 보급 중인 ‘우리맛닭’은 성장 속도와 이용 목적에 따라 ‘우리맛닭 1호’ 와 ‘우리맛닭 2호’ 두 가지로 나뉜다. ‘우리맛닭 1호’는 육질이 쫄깃하고 향이 좋아 백숙용으로 좋다. ‘우리맛닭 2호’는 육질이 부드럽고 초기 성장이 빨라 삼계탕용으로 알맞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조용민 가금연구소장은 “농가에 보다 나은 ‘우리맛닭’을 제공하기 위해 씨닭의 성장과 알 낳는(산란) 능력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우리맛닭’ 씨닭 분양이 토종닭 산업에 활력소가 될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토종닭 고유의 풍미를 살리고 생산성도 높인 ‘우리맛닭’ 실용닭을 생산하는 종계(씨닭)를 분양한다.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과 기술이전 실시계약을 맺은 종계 농장에 씨닭을 보급하고, 종계 농장에서는 실용닭을 생산하는 형태로 산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우리맛닭’ 씨닭 분양을 원하는 농장은 2020년 2월 28일까지 농업기술실용화재단(063-919-1312)에 신청하면 된다. 올해까지 3월에 받던 씨닭 분양 신청을 앞으로는 12월부터 다음해 2월까지 접수할 계획이다. ‘우리맛닭’ 실용닭 분양 신청은 연중 가능하며 가까운 지역 종계 농장에 직접 연락해야 한다. 경기, 충북, 전북, 전남, 경북, 강원 지역 종계 농장에서 농장 사정에 따라 1일령 어린 병아리와 백신 접종을 완료한 5주령 중병아리 2가지 형태로 분양한다. 현재 보급 중인 ‘우리맛닭’은 성장 속도와 이용 목적에 따라 ‘우리맛닭1호’와 ‘우리맛닭2호’ 두 가지로 나뉜다. 2008년 개발한 ‘우리맛닭1호’는 12주령이면 출하 체중인 2.1kg에 이르고 육질이 쫄깃하며 향이 좋아 백숙용으로 알맞다. 2010년 개발한 ‘우리맛닭2호’는 5주령에 750g, 10주령에
■ 우리맛닭의 개발 배경 및 특성은?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는 재래종 토종닭과, 알과 고기 생산능력이 뛰어난 토착종 토종닭을 교배하여 2008년 맛과 생산성이 좋은 ‘우리맛닭’을 개발했다.재래종 토종닭을 순수화하기 위하여 그간 많은 노력을 해왔다. 그 노력의 결과 재래종 토종닭을 복원했다. 그러나 재래종 토종닭은 맛은 뛰어나지만 체중이 가볍고 연간 낳는 알의 개수도 적어서 육용계나 산란계로 이용하기에 경제적으로 불리한 점이 많았다. 복원한 토종닭 중 ‘맛 좋은 종자’, ‘알 잘 낳는 종자’, ‘성장 빠른 종자’를 교배해 만든 우리맛닭 종계는 ‘08년부터 ’19년 현재, 약 12년 동안 총 201,420수가 전국에 보급되었다. ‘우리맛닭’의 고기는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콜라겐 함량이 높아 쫄깃쫄깃한 육질과 토종닭 고유의 구수한 향을 지니고 있으며, 기존 재래닭보다 성장이 빨라 경제성이 있으면서도, 우리 국민의 식성에 알맞다.현재 ‘우리맛닭’은 2종이 있다. 1호는 12주령이면 출하 체중인 2.1kg에 이르고 육질이 쫄깃하며 향이 좋고, 2호는 10주령에 2.1kg에 이르러 상대적으로 초기 성장이 빠른 특징이 있고, 육질이 부드럽다. ■ ‘우리맛닭’보급체계와절
토종닭 유전체 정보를 이용해 개발한 ‘우리맛닭’이 현재까지 약 20만마리가 전국에 보급되는 등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가운데 생산기반을 더욱 확대해 토종닭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겠다는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양창범 원장은 6일 수원 중부작물부에서 농식품 전문지 기자간담회를 갖고 토종닭산업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며 ‘우리맛닭’ 생산기반 확대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립축산과학원 가금연구소는 2017년 대관령 이전 후 새로운 연구시설을 기반으로 토종닭 순계 개량 연구, 유전체 정보 이용, 혈연관계가 높은 집단 육성, 새로운 육종형질 탐색 등 다양한 토종닭 개량 연구를 강화했다. ‘우리맛닭 1호’는 12주령에 출하 체중이 2.1kg에 이른다. 육질이 쫄깃하고 향이 좋다. ‘우리맛닭2호’는 10주령 체중이 2.1kg로, 성장이 상대적으로 빠르며 육질이 부드럽다. 토종닭은 육계에 비해 생산성이 낮지만 뚜렷이 구별되는 육질로 별도의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수입 불가능한 토종닭 종자 개량 연구는 산업 확대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양창범 원장은 “아무리 생산성이 좋은 토종닭을 만들어내도 소비가 줄면 산업이 크지 못하는데 최근 닭고기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사장 장원석)은 국내산 토종닭인‘우리맛닭’과 ‘우리큰닭’ 종계를 분양한다. ‘우리맛닭(우리맛닭1호)’과 ‘우리큰닭(우리맛닭2호)’은 농촌진흥청 연구진이 15년간에 걸쳐 순종을 복원하였으며, 그 중에서 선발된 3~4종을 교배한 품종으로, 육질이 쫄깃하고 풍미와 감칠 맛이 좋다. 종계는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 농장(종계장)과의 계약을 통해분양한다. 일반 수요자는 전국의 거점농가인 소래영농조합법인, 우슬재황토촌, 화순우리맛닭영농조합법인, 하복농장과 복전농장을 통해 ‘우리맛닭’실용계를 구입할 수 있다. ‘우리맛닭’의 우수한 식감과 영양학적 가치도 잘 알려져 있다. 피부 노화방지 효능이 큰 콜라겐 성분이 일반닭고기에 비해 약 10%, 필수아미노산인 메치오닌과 시스틴 성분은 37%높다. 감칠 맛을 내는 이노신 함량은 약 2배, 풍미를 높여주는 글루타민산도 35%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