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월 육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 전년대비 감소 추정 3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3.9% 내외 감소한 6,340~6,474만 마리로 추정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감소 및 산란율 하락, 생산원가 상승등으로 4월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3.3% 내외 감소한 6,808~6,948만 마리로 전망된다. 4~5월 육계 도축 마릿수 전년대비 감소 전망 4월 도축마릿수는 전년대비 4.3% 내외 감소한 6,041~6,169만 마리로 전망된다. 5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대비 3.7% 내외 감소한 6,497~6,634만 마리로 전망된다. 육계 병아리 입식 마릿수는 전년대비 감소될 전망이다. 다만 생산 원가하락, 종계 생산성 회복 등에 따라 도축 마릿수는 예측치보다 증가할 가능성도 있다.
KREI는 7월 육계관측을 통해 7월 육용계 사육 마릿수는 1억1,971만마리로 전년(1억2,406만)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1~5월 종계 입식 마릿수는 전년(276만) 대비 13.8% 증가했고 5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는 도태 증가로 전년(476만) 대비 2.4% 감소, 6월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가 줄어 병아리 생산량은 전년(8,187만) 대비 적은 7,908만마리로 집계했다. 상반기 입식된 종계가 병아리 생산에 가담하는 하반기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전년과 평년 대비 상승이 전망되며, 상반기 종계 입식 증가로 7월이후 생산 잠재력은 공급과잉이었던 전년보다도 높아 병아리 생산 증가가 전망된다. 또한 병아리 생산이 전년 대비 줄어 7월 출하될 병아리 입식 및 사육 감소로 7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1억1,567만) 대비 감소한 1억1,139만마리로 전망했다. 7월 생계유통가격은 1,400~1,600원/kg으로 전년보다 높을 것으로 보이며, 닭고기 생산량 감소와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오는 7월 23일 올림픽 개막 등으로 달곡기 수요 증가가 전망되고 있다. 이에 KREI는 8월 이후 병아리 생산 증가로 닭고기 공급과잉이 전망되며 하반기 닭고기 공급과잉
5월 육용계 사육 마릿수는 1억221억만마리로 평년(1억136만) 대비 0.8%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KREI는 5월 축산관측을 통해 3월 육용종계 성계 사육마릿수는 평년(496만) 대비 1.1% 적으나, 종계 생산성 향상등으로 4월 병아리 생산량은 평년(7,135만) 대비 5.3% 증가한 7,512만 마리로 전망했다. 하반기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평년 대비 높아 병아리 생산량이 증가해 7월 이후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공급과잉이었던 전년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5월 도계 마릿수는 평년(8,971만) 대비 0.4% 증가한 9,006만로 전망했다. 병아리 생산 증가에 따른 사육 마릿수 증가와 생산성 향상에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여름 복 성수기에는 도계 마릿수가 평년 대비 증가해 닭고기 공급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7월은 평년 대비 3.6%, 8월은 2.0% 증가될 것으로 전망하고 8월에는 공급과잉이었던 전년보다는 닭고기 공급량이 0.6%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KREI는 1분기 종계입식 증가로 하반기 닭고기 공급과잉이 우려되고 있어 계획적인 종계 입식 및 관리와 병아리 품질 개선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11월 육용계 사육 마릿수는 전년(8,711만 마리) 대비 0.3% 감소, 평년(8,211만 마리) 대비 5.8% 증가한 8,684만마리로 전망된다. 육계사육은 증가하나 삼계, 토종닭 입식이 줄어 사육마릿수는 감소하고 하반기 병아리 생산 잠재력이 높아 12월 사육마릿수는 평년대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1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8,449만 마리) 대비 2.0% 감소, 평년(7,967만 마리) 대비 4.0% 증가한 8,284만 마리가 전망된다. 삼계 및 토종닭 사육감소로 전체 도계 마릿수는 전년 대비 감소하고 12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8,482만 마리) 대비 2.8% 증가한 8,721만 마리가 예측된다. 종계 성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병아리 공급 과잉이 예상되고 있어 병아리 입식 및 종란 수급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며 하반기 종계도태 지연시 병아리 생산량 증가폭 확대가 우려되고 있어 계열업체의 종계 수급관리가 필요하다.
5월 육계 사육 마릿수는 병아리 생산이 늘어 전년동월(9,692만마리) 대비 4.0% 증가한 1억77만마리로 전망된다. 6월 육계사육 마릿수는 전년(12,159만마리)보다 2.7% 증가한 12,487만마리, 9월은 전년(8,853만마리)보다 3.2% 증가한 9,136만마리가 전망되고 있다. 또한 육계 사육 마릿수 증가로 도계 마릿수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5월 도계 마릿수는 작업일수 감소로 전년동월(9,769만마리) 대비 2.5% 감소한 9,522만마리로 전망되나 일평균 도계는 전년보다 2.9% 증가가 예상된다. ‘20년 5~10월 병아리 입식과 관련된 6~11월 도계 마릿수는 전년농기(5억6,172만마리) 대비 2.3% 증가한 5억7,462만마리가 전망되고 있다. 5월 생계유통가격은 도계 마릿수 증가로 전년(1,254원)보다 낮은 수준으로 900~1,100원/kg이 예상된다.
한우 사육 마릿수는 2022년 329만 9천마리로 증가하다가 이후 2024년 337만 7천마리로 증가세가 점차 둔화될 전망이다. 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한 축산관측 3월호에 따르면 가임암소 증가로 송아지 생산이 늘어 한우 사육 마릿수 증가세가 지속될 전망이다. 2020년 한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3.7% 증가한 316만 7천 마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임암소는 153만 8천 마리, 1세 미만 사육 마릿수는 90만 2천마리로 전망했다. 2021년에는 전년보다 2.4% 증가한 324만 3천마리, 2022년에는 전년보다 1.7% 증가한 329만 9천마리로 전망했다. 도축 마릿수는 2020년 전년 76만 5천 마리, 평년 74만 8천마리보다 증가한 79만 마리로 전망되고 21년에는 83만 마리, 22년에는 86만 마리 내외로 전망했다.
■ 한육우 12월 사육 마릿수는 1세미만 마릿수와 가임암소 마릿수 증가로 전년보다 2.8% 증가한 304만5천마리로 전망된다. 이력제 자료를 이용한 12월 도축 마릿수는 전년보다 1.4~4.5% 증가한 6만7천~6만9천마리로 예상되며, 내년 1~2월은 전년보다 1.6~3.8% 증가한 14만1천~14만4천마리로 전망된다. 12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증가로 지육 kg당 16,500~17,000원으로 전망되며, 내년 1~2월 도매가격은 17,200~17,600원으로 전망된다. 최근의 송아지 가격과 번식의향을 고려하면 2020년에도 송아지 생산 마릿수는 2019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한우 사육은 송아지 생산 잠재력이 높아 1세미만 마릿수가 증가하고, 1~2세 마릿수와 가임암소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내년 3월 한우 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3.2% 증가한 300만1천마리로 전망된다. 농가의 번식의향 유지로 2020년 가임암소 마릿수는 153만5천마리, 2021년 155만8천마리, 2020년 156만4천마리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사육 및 도축 마릿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쇠고기 생산량이 꾸준히 증
최근 ASF 발생 영향으로 돼지고기 소비가 감소한 영향 등으로 돼지고기 가격이 크게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발표된 돼지산업 동향을 바탕으로 돼지가격을 전망해 본다. ■ 돼지가격 전망 11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인한 살처분 영향등으로 전월(169만) 및 동월(166만)보다 감소한 161만 마리로 전망된다. 재고량(수입량 포함)중 11월에 공급 예상물량은 당월 수입량 감소로 전년보다 감소가 예상된다. 11월 평균 돼지 도매가격은 전월에 비해 도축이 감소해 10월보다 상승한 3,400~3,600원/kg으로 전망된다. 11월 도매가격은 전년에 비해 공급량은 감소하나,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으로 인한 소비자들의 안전성 우려로 소비가 감소, 전년보다 소폭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모돈 사육 마릿수는 살처분, 수매‧도태 영향으로 전년보다 감소한 103~105만마리로 전망되며, 모돈수 감소로 전체 사육마릿수도 전년보다 감소한 1,110~1,130만마리로 전망된다. 12월~내년 4월 등급판정 마릿수는 사육 마릿수가 줄어 전년보다 1.1% 감소한 740만마리로 전망되며 돼지고기 수입량은 국제가격 강세가 지속되면서 전년 동기보다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