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김장철 맞아 돼지 머릿고기 특징과 영양성분 소개 피부미용에 좋은 콜라겐 함량 높고…보쌈·구이로도 좋아 김장김치와 환상 궁합을 자랑하는 수육을 가성비 좋은 돼지 머릿고기로 만들면, 다른 부위 못지않게 맛있고 영양이 풍부한 보쌈을 즐길 수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김장철을 맞아 국내산 돼지 부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돼지 머릿고기의 특징과 영양 성분을 소개했다. 돼지 머리는 주로 편육과 국밥재료로 쓰이지만, 최근 돼지 부산물을 선호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머릿고기에 대한 수요가 부분육으로 점차 옮겨가고 있다. 머릿고기는 보통 돼지 1마리당 약 1kg 정도 생산된다. 총 6개 부위로 나눠지며, 각 부위별로 영양 가치도 뛰어나다. 6개 부위는 얼굴 볼 부위에 있는 볼살, 머리 뒤쪽에 목심살과 맞붙어 있는 뒷머릿살, 턱 부위의 항정살과 맞붙어 있는 턱살, 머리 양 옆의 관자 부위에 있는 관자살, 코 부위에 있는 콧살과 혀 아래에 붙어있는 혀밑살 등이다. 머릿고기에는 피부 미용에 좋은 콜라겐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단백질도 풍부하다. 뒷머릿살과 턱살의 콜라겐 함량은 100g당 3g으로 토시살보다 1.4배, 안심살보다는 4배 가까이
기능성 유제품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뉴질랜드의 한 유업체가 우유에 콜라겐을 첨가한 신제품을 출시했다. 이제품은 지난달부터 슈퍼마켓에서 750ml 1팩당 4,000원선에 판매되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관절 건강에 좋은 콜라겐을 찾는 소비자가 늘고있고, 알러지 항생물질, 방부제, 유전자 변형물질 및 호르몬 성분이 없어 콜라겐을 우유에 첨가하기로 했다”고 하고, “이번 신제품은 우수한 품질의 콜라겐을 살균 전 우유에 첨가해 우유의 맛이나 식감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유기농 및 락토프리우유 등 기능성 유제품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이 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2015년 0.7%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1.2%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 회사는 시장 점유율이 33%에 달하는 폰테라와 같은 대형 경쟁사들에 비해 아직은 작지만 웰빙 옵션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활용해 브랜드의 영향을 덜받는 우유제품 분야에서 좋은 이미지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편 이 회사는 소비 트렌드 활용과 함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해 유명업체와의 파트너쉽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이번 신제품의 경우는 콜라겐 전문 생산업체와 우유 250ml당 5g의 콜라겐을
대표적인 겨울 보양식인 한우 사골국. 떡국이나 만둣국을 끓일때도 사골국을 이용하면 영양만점 한끼의 식사가 될수있다. 사골국은 열량이 높지 않고 콜라겐, 무기물 등이 고루 함유돼 있어 성장기 어린이 노약자들에게 좋은 영양공급원이 될 수 있다. 영양학회에 따르면 지방을 걷어낸 사골국의 칼로리는 100ml 당 약 47kcal로 저지방 우유(80kal)보다 낮다고 전했다. 이번 설에 많이 이용될 것으로 보이는 좋은 사골을 고르는 방법은 무엇일까? 설을 맞아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에서 사골고르는 방법과 보관법등을 총정리했다. 한우 사골을 구입할 때는 사골 단면에 붉은 색 얼룩이 선명하고 연골 부분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고른다. 골간 단면에는 뼈와 골수사이 붉은색 경계가 뚜렷해야 골화 진행이 적은 좋은 사골이다. 사골은 깨끗이 씻은 후 한 번 가열해 혈액을 제거한다. 혈액을 제거한 사골은 건져내어 씻어주고, 사골 1kg당 5~7배 정도의 물을 다시 넣어 6시간 동안 끓인다. 사골의 혈액과 불순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려면, 물에 오래 담가두기보다 잠길 정도로 적당량의 물을 붓고 약 10∼20분 동안 끓여 준다. 한 번 끓고 나면 불을 약하게 줄여서 6시간 정도 더 끓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