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젖소의 고온 스트레스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IDF(국제낙농연맹)는 금년도 신규사업으로 고온 스트레스 표준운영지침(SOP)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난 1일 밝혔다. 통상 젖소가 고온 스트레스를 받으면 원유생산량이 10~20% 감소하고, 젖소의 번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젖소가 사망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IDF는 젖소 고온 스트레스가 세계 원유생산량, 동물건강, 원유품질, 번식능력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전 세계적으로 활용 가능한 효율적인 표준운영지침(SOP)을 개발하기 위해 신규업무를 추진키로 하고 세계 각국의 전문가로 구성된 TF팀을 구성중인데 최종 지침은 2022년에 발간될 예정이다.
ASF발생 이후 재입식 지연과 장기간의 이동제한으로 생계 위협까지 느끼고 있는 ASF 피해지역 5개 시·군 한돈농가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정부에 재입식과 생계안정을 위한 확실한 보상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ASF 희생농가 총괄비대위원회(위원장 이준길)는 20일, 세종시 농림축산식품부 청사 인근에서 인천 강화, 경기 김포, 파주, 연천 등 ASF 살처분 4개지역과 이동제한에 묶여있는 강원도 철원지역 한돈농가 500여명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접경지역 ASF 희생농가 총궐기대회’를 가졌다. 이번 집회는 9월 17일 국내 ASF 첫 발생 이후 총 14개 한돈농가에서 ASF가 발병한 뒤 10월 9일 이후로는 집돼지에서 ASF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명확한 재입식 기준과 피해농가에 대한 보상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어 ASF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 정책에 따른 농가들만 경제적·정신적 피해를 감내해야 하는 상황이 한계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에 ASF 발생 이후 재입식 지연과 장기간의 이동제한으로 불만이 극에 달한 ASF 피해지역 5개 시·군 한돈농가들이 총괄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정부에 재입식과 생계안정을 위한 확실한 보상대책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김홍길)와 한국농축산연합회(회장 임영호)는 17일 오전 9시 국회 정문앞에서 정부의 일방적인 연천지역 돼지 전두수 살처분 결정을 반대하고 야생멧돼지 관리를 위한 특단의 조치를 촉구하는 ‘ASF 시군단위 일괄 살처분 반대 및 야생멧돼지 특단 조치 촉구 기자회견’을 가졌다. 그동안 축단협과 농축산연합회는 ASF 발병 전부터 야생멧돼지에 대한 사전 방역대책을 요구하고 야생멧돼지에 대한 개체수 조절과 관리를 수차례 요구해왔다. 그러나 정부는 파주·김포에 이어 연천지역의 모든 돼지를 농가의 동의 없이 살처분이라는 극단 대책을 펼치고 있지만, 최근 DMZ와 민통선 인근의 야생멧돼지 사체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는 등 정황상 야생멧돼지가 가장 유력한 발생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정부의 과도한 정책으로 인해 살처분 당하는 해당 농장들은 재입식 전망조차 어려우며, 폐업에 준하는 피해 감수를 일방적으로 당하고 있지만 현재 보상조차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축단협과 농축산연합회는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방역의 중점을 야생멧돼지 관리에 두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파주·김포에 이어 연천지역의 모든 돼지를 농가의 동의 없이 살처분이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