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평원이 소 등급제 개편 방향에 대해 전문지기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질의 응답시간을 가졌다.
축산물품질평가원(백종호 원장)은 지난 17일 세종시 본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2017년도 운영계획에 대해 설명하고 추진 중인 소 등급판정 기준 보완 관련 다양한 의견을 수렴했다.
백종호 원장은 “소 등급 표기가 현재 1++, 1+, 1, 2, 3 등으로 표기되고 있는 것을 소비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명칭을 개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히 예민한 부분으로 전면적인 개정에 대해서는 호응이 낮아 향후 소비자나 유통업체와 충분히 협의해 개선 방향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한우협회의 경우 명칭 변경에 대해서 찬성을 하는 입장이고, 육량등급 보완도 공감을 하고 있으나 육질등급 개편에 대해서는 우려를 하고 있다"고 밝히고, "경영비 절감이라는 보완 방향에는 공감하고 있는 만큼 향후 충분한 협의를 진행해 공감대를 형성 해 나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백종호 원장은 "생산자단체와 여러 번의 협의과정을 거치며 현재 이견이 많이 줄어든 상태"라면서, "방향과 취지에 대해 이해하고 있으며 기본 방향에 대해서는 충분히 공감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축평원 김관태 본부장은 소 사육기간을 줄이는 문제에 대해서는 육질등급을 유지하면서 사육기간을 줄여 생산비를 낮춤으로써 소비자 가격까지 낮추는 방향에 생산자단체에서도 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보완 방향에 대한 당위성과 근거를 충분히 마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사육기간 단축으로 풍미가 다소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최근들어 식문화가 바뀌어 가면서 다양한 입맛을 찾고있어 사육기간을 줄임으로써 한우 고유의 풍미가 낮아져 소비가 줄어드는 문제는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축평원은 소 등급에서 육량은 한 마리당 고기 생산량이 많은 우수한 소 도체가 좋은 등급을 받도록 개선하기로 하고, 성별, 품종별로 육량지수 산식을 개발해 도체중이 크면서 정육율도 높은 소의 변별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육질은 소비 트렌드 변화에 부응하면서 쇠고기 생산성 향상 유도하기로 하고, 가격과 품질면에서 선호도가 높은 등급(1+, 1등급)의 쇠고기 생산을 늘려 소비자가 합리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기준으로 보완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한우산업의 다양성을 추구해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고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도 충족 한다는 복안이다.
생산농가에서 1++등급만 고집하는 것이 아니라 1+등급 이하의 쇠고기 생산도 목표로 하도록 사양체계를 유도해 한우산업의 다양성을 추구한다는 방침이다.
축평원은 1+등급, 1등급의 평균 출하월령이 2.1개월 단축(현 31.1 → 29)되는 경우 연간 1,258억 원 경영비 절감 효과가 있을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향후, 등급기준 보완(안)의 현장 시험 적용 및 개선과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등급기준 보완 시행 확대,쇠고기 등급에 대한 정기적 모니터링 및 검증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축산물 유통실태 조사 계획으로는 축산물 유통실태 수입 소·돼지 부산물 품목 확대와 통계적 표본설계를 통해 유통정보 정확도를 제고한다는 계획이다. 직거래유통 현황조사를 통한 우수사례 선정 및 홍보와 유통환경 이슈에 대한 상시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축산물이력제 사업은 식육즉석판매가공업자의 이력관리 이행대상 추가와, 이력정보(도체중, 브루셀라・결핵병, 백신접종결과) 공개 명확화, 위해축산물판매차단 폐지 등 ‘가축 및 축산물 이력관리에 관한 법률’ 하위규정이 오는 6월 개정을 앞두고 있다. 또,귀표부착비 예산 감축(5,141백만원→4,502)에 따른 자가부착농가 운영도 확대된다.
육우 이동(양도・양수신고) 체결률을 안정화 하고,오는 8월까지 식육포장처리업소(전산 및 비전산업체) 지원 사업과 5월축산물이력정보 빅데이터 경진대회 운영,축산물이력제 워크숍(연찬회) 운영을 통해 이력제 정책 공유 및 단계별 추진결과 공유와 제도 개선사항 등을 발굴하기로 했다.
이밖에 돼지기계 등급판정 시범사업을 통한 효과분석과 외국 적용 사례 조사 및 중․장기 로드맵 마련,축산물납품서류 간소화를 위한 “축산물거래정보통합증명서” 시범 적용, 단체급식(학교 등) 축산물 관리체계 개선 추진, 이력․등급을 연계한 생산자 정보 제공 온라인 서비스 강화 등을 계획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