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9.7℃
  • 맑음강릉 13.8℃
  • 박무서울 10.1℃
  • 맑음대전 13.3℃
  • 연무대구 12.4℃
  • 맑음울산 13.6℃
  • 연무광주 10.9℃
  • 맑음부산 14.7℃
  • 흐림고창 8.6℃
  • 맑음제주 17.1℃
  • 구름조금강화 10.4℃
  • 구름조금보은 10.6℃
  • 맑음금산 12.4℃
  • 맑음강진군 14.3℃
  • 맑음경주시 13.7℃
  • 맑음거제 13.8℃
기상청 제공

농업 / 산림

올해 농업생산액 52조5030억원…지난해보다 1.9% 증가

농촌경제연구원, 온라인 ‘농업전망 2021’ 개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전망 2021’을 통해 올해 농업생산액을 지난해보다 1.9% 증가한 52조5030억원으로 전망했다.

 

20일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온라인을 통해 개최된 ‘농업전망 2021’에서 이같이 전망하고 2020년 농업생산액 추정액은 전년 대비 3.7% 증가한 51조 5,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작황 부진에 따른 전반적인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6% 증가,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3.7%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2021년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31조 7,060억으로 전망하며, 식량작물은 20년산 쌀 가격 상승과 콩, 감자 생산액 증가로 전년 대비 5.1% 증가하고 과실은 20년산 가격 상승과 21년산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 채소는 전년도 생산액 증가의 기저효과로 3.8%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올해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0조 7,970억 원 전망했다.

종계 감소로 인한 닭 가격 상승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오리·계란 가격 상승이 축산업 생산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육우 3.6%, 돼지 0.8% 감소하나 닭 12.4%, 오리 6.4%, 계란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농가소득은 농외소득‧비경산소득 회복으로 1.5% 증가가 전망되며 농업교역조건은 전년 대비 소폭 악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농가인구는 전년대비 1.8% 감소한 216.2만 명, 농가호수는 1.0% 감소한 98.5만호로 전망하고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은 전년 대비 1.2%p 증가한 49.2%로 고령화 심화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농림어업취업자수는 꾸준하게 증가세가 이어져 전년 대비 2.5% 증가한 148만명이 전망됐다.

이와함께 올해 경지면적과 재배면적 감소세는 계속적으로 이어질 전망이며 돼지·닭·오리 사육마릿수 감소로 전년 대비 2.5% 감소한 188백만마리로 예측됐다.

 

[농업전망 2021] 주요 품목별 전망

■ 곡물

 

 2020년산 쌀 단경기 가격 전년 대비 상승하나, 수확기 대비 안정세 전망
 2020년산 단경기 쌀 가격은 5만 2,500원~5만 3,800원/20kg 내외로 전망
 - 2020년산 생산량 감소로 벼 가격이 상승하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대비 가격 상승폭이 클 것으로 전망
- 다만, 가격 상승 기대 영향으로 농가재고량이 전년보다 많고 정부가 산물벼 인도 및 공매 등의 형태로 부족한 물량을 단계적으로 공급할 계획이므로 이를 통해 시장 불확실성이 해소된다면, 수확기에 급상승했던 쌀 가격은 점차 안정세로 전환될 전망

 

2021년 벼 재배의향면적 72만 8천ha로 전년 대비 0.3% 증가
벼 가격 상승,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종료 등의 영향으로 타작물로 전환했던 농가 중 일부가 벼로 회귀할 것으로 조사되어 예상됨에 따라 금년 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 전망
- 2020년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에 참여했던 농가 중 21%는 타작물 면적 일부 또는 전부에 벼를 재배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

 

 ▲콩
 2020년산 단경기(8~10월) 콩 가격은 생산량 감소 등으로 수확기 대비 상승할 전망
 - 콩 생산량이 작황 악화로 전년 대비 23.2% 감소하여 수매물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시장공급물량이 전년 대비 17% 이상 감소할 전망
- 코로나19로 가정 내 소비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코로나19 영향이 금년에도 상당 기간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콩 수요 증가 전망 

 

2021년 콩 재배의향면적은 전년 수준인 5만 5천ha 내외이나 논콩은 전년 대비 14.9% 감소
- 콩 가격 상승으로 밭콩 재배의향면적은 4.0% 증가하나, 논타작물재배지원사업 종료 및 쌀 가격 상승 영향 등으로 논콩 재배의향면적은 감소

 

 ▲감자
 2021년 상반기 감자가격은 저장물량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상승 전망 
 - 코로나19 영향이 상반기에 지속된다고 가정하면 주요 수요처인 학교급식과 외식업체 수요 감소 영향 등으로 가격 상승폭 제한

 

2021년 감자 재배면적은 시설 봄감자가 전년 대비 2.4% 감소 전망, 노지 봄감자는 재배의향면적이 1.8% 감소
- 시설 봄감자는 경합작물(당근 등)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 전망
- 노지 봄감자는 지난해 주출하기 상품 가격은 강세였으나, 상품성 있는 굵은 감자 비율(상서율)이 낮아 농가 조수입이 감소한 영향 등으로 재배의향면적 감소


■ 축산

 

 ▲한우
2020년 12월말 기준 한우 사육구조(이력정보) 분석 결과, 2021년에 도축이 가능한 개체(17개월 이상)의 경우 암소는 149만 마리로 전년 대비 4.8% 증가하였으며, 수소는 55만 마리로 전년 대비 6.0% 많은 상황
- 아울러, 10개월 이내에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는 가임암소(15개월 이상)는 155만 마리로 전년 대비 8.8% 증가하였으며, 송아지는 35만 마리(암: 17, 수: 18)로 전년 대비 8.0%, 육성우는 74만 마리(암: 33, 수: 41)로 전년 대비 5.8% 많은 상황

 

이에 2021년 도축마릿수는 전년보다 약 11% 증가한 84만 마리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되며, 2021년 도매가격은 공급(도축)증가 영향으로 전년 대비 약 7.9% 하락한 1만 8천 원/kg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2021년 총 사육마릿수는 10개월 이내에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는 가임암소수(15개월 이상), 송아지(1~6개월) 및 육성우(암:7~14개월, 수:7~16) 수 증가* 등으로 전년 대비 약 2.5% 상승한 328만 마리 내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

 

최근 도매가격 상승에 따른 사육의향 증가로 인해 사육과 도축마릿수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므로 안정적인 한우수급 상황 유지를 위해 농가의 선제적인 암소감축 및 송아지 생산?입식 조절 등 필요

 

▲돼지
2020년 11월 말 기준 돼지 사육 구조(이력 정보) 분석 결과, 2021년 5월까지 출하 가능한 자돈·육성돈·비육돈 사육 마릿수는 1,055만 마리로 전년(1,085만)보다 2.7% 적으나, 평년(1,053만)보다는 0.2% 많은 상황

 

2021년 도축 마릿수는 2020년 대비 사육 및 모돈 감소 등으로 2020년 대비 4% 감소한 1,761만 마리로 전망되나, 비육돈 생산성 향상 등으로 평년 대비 2% 증가하여 수급은 양호할 것으로 예상
- 상반기 도축마릿수는 880만마리(전년 대비 3.8%↓, 평년 대비 3.4%↑) 

- 하반기 도축마릿수는 881만마리(전년 대비 3.9%↓, 평년 대비 0.7%↑) 


2021년 돼지 도매가격은 도축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0.7% 상승한 4,219원/kg 전망되나, 평년 대비 도축 마릿수가 많아 2.1% 하락 전망
- ’21.1~9월까지는 돼지 도축마릿수가 평년보다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격은 평년 대비 소폭 낮은 수준을 보이다가, 10월 이후 도축마릿수가 줄어들면서 가격은 평년 대비 소폭 높은 수준에서 형성

 

2021년 사육 마릿수는 2020년 생산자 자율의 모돈 감축 영향으로 2020년(1,119만 마리) 보다 0.4% 감소한 1,115만 마리로 전망

 

▲ 젖소
 2021년 원유 생산량은 2020년 대비 1.1% 감소한 206만 5천 톤 전망
 - 집유주체별 기준 원유량 및 초과원유가격 조정으로 사육 마릿수가 감소하고 마리당 산유량이 줄어 2020년 대비 감소

 

▲ 산란계
2021년 사육 마릿수는 HPAI로 인한 매몰 처분과 종계 사육 및 실용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2020년 대비 4% 감소(평년 대비 1% 감소)한 7,009만 마리 전망
- 2021년 상반기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HPAI로 인한 매몰 처분과 계란 생산에 가담하는 2020년 하반기 실용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2020년 대비 5.9% 감소(평년 대비 0.3% 감소)한 6,954만 마리 
- 2021년 하반기 산란계 사육 마릿수는 2020년 하반기 종계 병아리 입식 감소로 2020년 대비 2.2% 감소(평년 대비 1.5% 감소)한 7,064만 마리 

 

산란계 생산성 향상으로 2021년 계란 생산량은 사육 마릿수 감소폭보다 적은 전년 대비 2.0% 감소(평년 대비 1.0% 감소)한 일일 4,486만개(총 64만 9천 톤) 전망

 

2021년 계란 산지가격은 계란 생산량 감소로 2020년 대비 4.1%, 평년 대비 7.2% 상승한 1,145원(특란 10개) 전망

 

▲ 육계
2021년 도계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2020년 하반기 종계 입식 마릿수는 전년 대비 8.0%, 평년 대비 0.9% 감소

 

2021년 도계 마릿수는 10억 5천 만 마리로 HPAI 발생과 2020년 대비 종계 입식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2.0% 감소하나, 종계 생산성 향상 등으로 평년 대비 2.8%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상반기 도계 마릿수는 5억 468만 마리(전년 대비 4.0%↓, 평년 대비 2.0%↑) 
- 하반기 도계 마릿수는 5억 4,232만 마리(전년 대비 0.3%↓, 평년 대비 3.9%↑) 

 

2021년 생계유통가격은 도계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14.3% 상승한 1,279원/kg 전망되나, 평년 대비 도계 마릿수가 많아 2.3% 하락 전망
- 상반기는 도계 마릿수 감소 및 HPAI 영향으로 가격이 전년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나, 하반기부터 생산량이 회복됨에 따라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

 

▲ 오리
2021년 도압 마릿수에 영향을 미치는 2020년 하반기 종오리 사육 마릿수는 전년 대비 15.3%, 평년 대비 5.8% 감소

 

2021년 도압 마릿수는 HPAI 발생과 2020년 대비 종오리 사육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8% 감소(평년 대비 10% 감소)한 6,262만 마리로 전망
- 상반기 도압 마릿수는 2,897만 마리(전년 대비 12.8%↓, 평년 대비 6.9%↓) 
- 하반기 도압 마릿수는 3,365만 마리(전년 대비 0.3%↓, 평년 대비 4.6%↓) 

 

2021년 오리 산지가격은 도압 마릿수 감소로 2020년 대비 13.2%, 평년 대비 9.5% 상승한 6,345원/생체3.5kg 전망
- 상반기는 도압 마릿수 감소 및 HPAI 영향으로 가격이 전년 대비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
- 7월 이후 도압 마릿수 회복에 따라 전년과 비슷한 수준의 가격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


■ 채소

▲ 엽근채소
2021년 1분기 주 출하되는 2020년산 겨울 작형 생산량 재배면적 확대로 전·평년 대비 증가, 1월 한파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던 월동무는 감소 전망
- (겨울배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0%, 0.5% 증가한 29만 2천 톤, 1분기 가격은 전년(8,730원/10kg) 및 평년(7,720원) 대비 낮을 전망
- (월동무)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2%, 0.7% 감소한 33만 1천 톤, 1월 가격은 가뭄·한파 등으로 초기 출하가 원활하지 못해 평년(13,020원/20kg)대비 높겠으나, 2∼3월은 평년(12,800원) 대비 하락 전망 

- (겨울당근)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37.4%, 9.0% 증가한 5만 4천 톤, 1분기 가격은 전년(38,190원/20kg) 및 평년(25,040원) 대비 낮을 전망 
- (겨울양배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1.3%, 14.6% 증가한 16만 7천 톤, 1월 가격은 평년(7,450원/8kg) 대비 높겠으나, 2∼3월은 평년(7,240원) 대비 하락 전망 

 

2021년 엽근채소(배추·무·당근·양배추) 재배면적 전년 출하기 가격 약세 영향으로 2020년 대비 6.5% 감소한 57,485ha
 - 2020년 여름철 긴 장마 영향으로 출하기 가격이 높았던 고랭지 작형 재배면적 증가하겠으나, 봄·가을·겨울 작형은 감소 예측

 

▲ 마늘, 양파
(마늘 수급동향 및 전망) 2021년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로 전년 대비 16%, 평년 대비 8% 적은 30만 톤 전망.
- 저장량이 전년보다 적어 남도종 수확기(5월) 이전까지 가격 전년 대비 높을 전망

 

(양파 수급동향 및 전망) 2021년 생산량은 재배면적이 증가하나 단수 감소로 전년 대비 7%(조생종 전년 수준, 중만생종 8%↓) 적은 125만 톤 전망
- 조생종양파 생산량이 전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되어 단경기(3월 중하순)까지 적정 수준 재고량 유지 필요

 

■ 과일

주요 6대 과일 재배면적 감소세이나, 국내 육성 신품종 및 기타과일 증가
- 6대 과일 재배면적 최근 10년간 연평균 0.9% 감소, 기타과일 동기간 1.6% 증가
- 포도는 폐원과 작목전환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였으나, 샤인머스켓 정착으로 2020년 증가로 전환

 

2021년 6대 과일 생산량 전년 대비 10% 증가한 178만 톤 전망
- 2020년 과일 생산량은 개화기 이상 저온, 여름철 장마 및 세 차례의 태풍, 화상병 등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한 것으로 추정
-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1% 감소하나, 평년 수준의 작황 회복 시 2021년 과일 생산량 증가 전망

 

■ 과채

2020년 7대 과채류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4% 감소한 4만 5,052ha
- 노동력 부족과 농가 고령화로 재배면적 감소
- 품목별로는 딸기 12% 감소, 나머지 과채류는 1~5% 감소

 

2020년 7대 과채류 생산량은 여름철 장마와 집중호우로 전년 대비 8% 감소한 194만 톤 추정
- 여름작형 수확시기에 기상악화로 호박, 풋고추, 토마토, 수박 단수 감소
- 특히, 호박(-10%), 수박(-8%), 토마토(-5%), 풋고추(-4%)의 생산량 감소폭 컸음

 

2021년 7대 과채류 재배면적은 전년도 출하기 가격 강세 영향으로 정식의향이 늘어 전년 대비 2% 증가한 4만 6천 ha 전망
- 품목별 재배면적 전년 대비 증감률 : 딸기 8%, 오이 3%, 호박·토마토·풋고추 2%, 수박 1%, 참외?1%

 

2021년 7대 과채 생산량 전년 대비 4% 증가한 202만 톤 전망
- 오이를 제외한 과채류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로 전년 대비 5% 증가 전망

 

■ 국제곡물
2020/21년 세계 주요 곡물 수급 전년 대비 악화, 선물가격 상승 전망

2020/21년 세계 주요 곡물 생산량은 모든 품목에서 전년 대비 증가하나 옥수수와 콩 기말재고율은 하락 전망
- 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7%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1.4%p 상승한 42.3%로 예측되며, 가격은 15.1% 상승한 톤당 233달러 전망
- 옥수수는 남미의 작황 우려에도 미국의 생산량 증가로 전년 대비 2.7%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2.0%p 하락한 25.3%로 예측되며, 가격은 25.6% 상승한 톤당 180달러 전망  

- 콩 생산량은 전년 대비 7.2%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4.7%p 하락한 24.1%로 예측되며, 가격은 32.7% 상승한 톤당 464달러 전망
-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1%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전년과 비슷한 32.2%로 예측되며, 가격은 7.3% 하락한 톤당 273달러 전망

 

2021/22년 세계 주요 곡물 수급 2020/21년 대비 악화 전망
2021/22년 세계 주요 곡물 생산량은 2020/21년 대비 증가하고, 기말재고율은 모든 품목에서 하락, 세계 곡물 가격은 예년 수준 회복으로 하락 전망
- 밀 생산량은 전년 대비 1.5%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0.1%p 하락한 42.2%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2.1% 하락한 톤당 228달러 전망
- 옥수수 생산량은 전년 대비 1.4%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0.5%p 하락한 24.8%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4.3% 하락한 톤당 172달러 전망  

- 콩 생산량은 전년 대비 3.6%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1.4%p 하락한 22.6%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8.4% 하락한 톤당 425달러 전망
- 쌀 생산량은 전년 대비 0.9% 증가하나, 기말재고율은 0.4%p 하락한 31.7%로 예측되며, 가격은 전년 대비 2.0% 상승한 톤당 278달러 전망

 

배너
배너

관련기사

포토이슈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