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농업소득 전년대비 0.6% 감소 4671만원 농가인구 고령화 심화 가속…223.7만명 지난해 농업생산액은 7.8% 증가한 54조 420억원으로 농가소득 4.3% 증가한 4,697만원이 추정됐으나 올해는 농업생산액이 전년대비 3.2% 감소한 52조 2930원으로, 농가소득도 전년대비 0.6% 감소한 4671만원으로 전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9일 ‘농업전망 2022’를 온라인을 통해 개최하고 올해 농축산 주요 동향을 발표했다. 올해 농가인구는 65세 이상 농가인구 비중 전년 대비 0.8%p 증가한 43.9%로 고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전년대비 1.7% 감소한 223.7만명, 농가호수 1.9% 감소한 99.3만호가 전망된다. 그러나 귀농·귀촌 등의 영향으로 농림어업취업자수가 2017년 하반기부터 꾸준히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다. 2022년에도 경지면적과 재배면적은 감소세가 이어질 보여, 경지면적과 재배면적은 전년 대비 각각 0.9%, 0.3% 감소해 154만 ha, 157만 ha 전망된다. 또한 가축 사육마릿수도 전년 대비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우제류·가금류 사육마릿수 증가로 전년 대비 4.3% 증가한 194백만마리가 예상되고 있다. 식품소비행태 변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전망 2021’을 통해 올해 농업생산액을 지난해보다 1.9% 증가한 52조5030억원으로 전망했다. 20일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온라인을 통해 개최된 ‘농업전망 2021’에서 이같이 전망하고 2020년 농업생산액 추정액은 전년 대비 3.7% 증가한 51조 5,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작황 부진에 따른 전반적인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6% 증가,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3.7%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2021년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31조 7,060억으로 전망하며, 식량작물은 20년산 쌀 가격 상승과 콩, 감자 생산액 증가로 전년 대비 5.1% 증가하고 과실은 20년산 가격 상승과 21년산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 채소는 전년도 생산액 증가의 기저효과로 3.8%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올해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0조 7,970억 원 전망했다. 종계 감소로 인한 닭 가격 상승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오리·계란 가격 상승이 축산업 생산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육우
2020년 국내 농업생산액은 전년과 비슷한 50조4380억원이 될 것으로 보이며 공익직불제 도입 효과에 힘입어 농가소득은 4500만원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축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1.0% 증가하고, 중장기적으로 젖소를 제외한 주요 축종의 증가세로 연평균 0.9% 늘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농업전망 2020대회’를 개최하고 2020년 국내 농축산업을 전망했다. 우선 올해 농업생산액을 전년보다 0.8% 증가한 50조4380억원으로 전망했다. 쌀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1.4% 증가하고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19조8660억원으로 전망했다. 2020년 농가소득은 이전소득 증가에 힘입어 4500만원에 근접할 전망이다. 공익직불제 도입 효과로 이전소득은 전년보다 15.2% 증가한 1144만원, 농업총수입 증가, 2018년·2019년산 쌀변동직불금 지급 효과 등으로 농업소득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1295만원,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전년보다 각각 2.9%, 1.9% 증가가 예상된다. ■ 주요 품목별 전망 ▲ 한우 한우 사육 마릿수는 송아지 가격 강세로 농가의 번식의향이 높아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