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전망 2021’을 통해 올해 농업생산액을 지난해보다 1.9% 증가한 52조5030억원으로 전망했다. 20일 ‘코로나19 이후 농업‧농촌의 변화와 미래’를 주제로 온라인을 통해 개최된 ‘농업전망 2021’에서 이같이 전망하고 2020년 농업생산액 추정액은 전년 대비 3.7% 증가한 51조 5,000억원으로 추산됐다. 작황 부진에 따른 전반적인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3.6% 증가, 한육우·돼지·계란 가격 상승으로 축잠업 생산액은 3.7%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2021년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2.5% 증가한 31조 7,060억으로 전망하며, 식량작물은 20년산 쌀 가격 상승과 콩, 감자 생산액 증가로 전년 대비 5.1% 증가하고 과실은 20년산 가격 상승과 21년산 생산량 회복으로 전년 대비 10.3% 증가, 채소는 전년도 생산액 증가의 기저효과로 3.8%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올해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20조 7,970억 원 전망했다. 종계 감소로 인한 닭 가격 상승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오리·계란 가격 상승이 축산업 생산액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분석했다. 한육우
2020년 국내 농업생산액은 전년과 비슷한 50조4380억원이 될 것으로 보이며 공익직불제 도입 효과에 힘입어 농가소득은 4500만원에 근접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축사육 마릿수는 전년보다 1.0% 증가하고, 중장기적으로 젖소를 제외한 주요 축종의 증가세로 연평균 0.9% 늘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농업전망 2020대회’를 개최하고 2020년 국내 농축산업을 전망했다. 우선 올해 농업생산액을 전년보다 0.8% 증가한 50조4380억원으로 전망했다. 쌀 가격 상승으로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1.4% 증가하고 축잠업 생산액은 전년보다 0.7% 증가한 19조8660억원으로 전망했다. 2020년 농가소득은 이전소득 증가에 힘입어 4500만원에 근접할 전망이다. 공익직불제 도입 효과로 이전소득은 전년보다 15.2% 증가한 1144만원, 농업총수입 증가, 2018년·2019년산 쌀변동직불금 지급 효과 등으로 농업소득은 전년보다 1.4% 증가한 1295만원, 농외소득과 비경상소득은 전년보다 각각 2.9%, 1.9% 증가가 예상된다. ■ 주요 품목별 전망 ▲ 한우 한우 사육 마릿수는 송아지 가격 강세로 농가의 번식의향이 높아짐에
□ 국제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경영비 부담 줄어들 전망 국제 원유가격 하락 영향으로 영농광열비와 비닐 등 영농자재 가격 하락폭이 크며 시차를 두고 비료류 가격 등도 하락하여 2015년 투입재 가격은 전년대비 4.4%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경기회복이 둔화되어 농산물 수요 증가는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2015년 세계경제 성장 둔화로 한국경제 성장률은 3.6%로 전망(KDI 3.5%, 기재부 3.8%)되지만 국내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낮아져 농축산물 수요 증가도 한계가 있을 전망이다. 올해 농가판매가격은 전년대비 1.5%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경기가 회복되어 농축산물 수요가 증가할 경우 가격 상승의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농업생산액 감소하지만 농업소득과 농가소득은 작년보다 증가할 전망 2015년 농업생산액은 전년대비 2.1% 감소한 43조 8,900억 원으로 전망된다. 돼지 사육두수 증가 영향으로 가격 하락폭이 커서 축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3.4% 감소할 전망이며, 지난 2년 연속 농산물 가격이 낮아 2015년 재배면적은 감소하고 단수도 전년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어, 재배업 생산액은 전년대비 1.2% 감소할 전망이다. 경기회복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최세균)은22일 잠실롯데호텔에서 농업계 인사 1,7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업전망 2014'대회를 개최했다. 2014양곡년도 연평균 쌀 가격은 17만 2천 원(80kg) 내외로 전망된다. 2014양곡년도 평균 쌀 가격은 전년보다 2.5% 내외로 하락한 17만 2천 원/80kg 수준으로 전망된다. 2014년산 벼 재배면적은 전년대비 0.2% 감소한 83만 1천ha, 단수를 493∼ 509kg/10a으로 적용한 쌀 생산량은 410만 1천 톤∼422만 6천 톤으로 전망된다. 2014년 한우고기 도매가격은 전년보다 5.3% 상승한 kg당 13,420원으로 전망되며, 돼지고기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7.9% 상승한 kg당 3,883원으로 전망된다. 2014년 한육우 사육 마리수는 전년 대비 4.9% 감소한 277만 마리로 전망된다. ‘14년부터 송아지 가격 상승이 예상됨에 따라 이후 번식의향이 높아져 ‘17년을 저점으로 사육 마릿수가 증가세로 전환되어 한우가격 상승 폭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돼지 사육 마리수는 모돈수 감축 영향으로 전년 대비 7.3% 감소한 연평균 935만 마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014년 지육가격은 전년보다 7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은23일 잠실롯데호텔에서 농업계 인사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업전망 2013'대회를 개최했다.2013년 농업생산액은 43조 4,230억 원으로 작년보다 2.2% 증가할 전망이다. 쌀 생산액은 생산량 증가로 전년 대비 1.8% 증가한 8조 1,050억 원으로 추정된다.채소류의 경우 배추, 마늘, 고추 등은 증가하고 양파, 무, 수박 등은 감소하여 전년 대비 3.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축잠업은 한육우, 양돈, 육계 생산액이 증가하여 전년보다 4.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2013년 농업부문 부가가치(부대 서비스 제외)는 생산액 증가로 전년보다 0.9% 증가한 24조 6,360억 원 수준으로 전망된다.재배업 부가가치는 전년 대비 0.9% 증가한 20조 230억 원이며, 축산업은 0.6% 증가한 4조 6,130억 원으로 예상된다. 중장기적으로 농업부문 부가가치는 소폭의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재배업 부가가치는 중기에 감소세를 보인 후 장기적으로 상승하고, 축산업 부가가치도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2013년 농업 총소득은 9조 8,950억 원으로 작년보다 0.1% 감소할 전망이다.농업 총소득은 중장기적으로 감소세를 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는 23일 ‘농업전망 2013’ 발표대회를 개최한다. 오전 9시부터 잠실 롯데호텔(송파구 올림픽로)에서 열리는 이번 ‘농업전망 2013’ 발표대회는 ‘새로운 희망 새로운 선택’이란 주제 하에 총 3부로 나눠 진행한다. 1부는 ‘세계경제와 한국 농업 전망’, 2부는 ‘품목 전망과 이슈’, 3부는 ‘새해 주요 농정 과제와 대응’이란 주제로 연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경북과 전남에서 전망대회를 개최하며, 경북지역은 29일 경주시 보문단지 THE-K 경주호텔, 호남지역은 30일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지방공무원교육원에서 10시부터 전망대회를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