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연휴를 맞아 미국 가정에서 홈베이킹이 시작되며 11월 둘째주부터 크리스마스까지 약 1억 6,100만 파운드(약 7,300 kg)의 버터가 판매될 것으로 예상된다. 위스콘신주 낙농가 협회에 따르면, 크리스마스 연휴기간 동안 버터 판매량 증가는 매년 반복되고 있는 현상이기는 하나 코로나 19 이후 홈쿡과 홈베이킹에 따른 수요가 크게 늘면서 평년대비 판매량이 더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지난 2011년부터 2018년까지 미국인의 연간 버터 소비량은 평균 5.6파운드(약 2.5kg)에 그쳤으나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지난해 소비량은 연간 6.3파운드(약2.8kg)까지 증가하며 이례적인 수치를 기록한데 이어 금년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출처:agweb.com, 11월 16일>
미국 전역에 극심한 가뭄이 이어지면서 낙농업계도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미국 기후학자 협회 에 따르면 이미 지난해 가을부터 (AASC) , 강수량이 평년대비 감소하기 시작하면서 올해 들어 가뭄이 더욱 심화 되었고 평년보다 덥고 건조한 날씨가 6월 중순 이후로 지속될 것으로 예보됨에 따라 낙농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직접 사료를 재배하는 낙농가들의 경우 사료작물 재배를 마쳤으나, 비가 오지 않아 토양 수분이 부족해 발아조차 하지 못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지난 2012년 극심한 가뭄으로 불거진 곡물 파동을 상기하며 지금과 같은 상황이 심화될 경우 사료가격 상승으로 캐나다에서 알팔파를 구입해야하는 등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여름 내내 덥고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낙농업계는 물론 농업계는 그 어느 때 보다 비가 오길 간절히 기원하고 있다. <출처 : dairyherd.com, 6월 11일자>
미국에서 젖소의 분뇨를 활용한 포장재가 개발되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라스베가스 포장 박람회를 통해 한 토양학자가 젖소의 분뇨를 활용해 100% 생분해 가능한 퇴비성 화분 및 포장재를 공개했다. 이 제품은 액자 테두리나 깨지기 쉬운 물품을 배송할 때 주로 사용되는 섬유판만큼이나 견고하고 보호력이 강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해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인 함량이 높은 젖소의 분뇨가 하천으로 유입될 경우 수질 오염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하는데, 해당 학자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고 우유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코네티컷주 낙농가와 협력해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아 분뇨를 수거해 하천 유입을 방지하고 안전하고 퇴비로 활용이 가능한 화분을 개발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최근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해당 제품이 원예가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intelligentliving.co, 5월 16일자>
암을 유발하는 곰팡이 독소의 일종인 아플라톡신 M1이 전 세계 낙농업계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더 빠르고 쉽게 이를 검출할 수 있는 검사도구가 개발되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식품안전 진단키트 개발 업체인 니오젠(Neogen Corp)은 원유 샘플의 독소를 단 몇분만에 최소 150에서 최대 600PPT(일조분율)까지 검출할수 있는 키트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또한 해당업체의 특허 받은 통합분석 플랫폼을 통해 아플라톡신뿐만 아니라 원유 속 항생제를 동시에 검사할수 있어 원유의 잔류물질 검사과정을 간소화시키고 검사시간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아플라톡신 M1은 젖소의 반추위에서 생성되는 발암성 물질로 미국, 브라질 등 대부분 국가의 함량 최대 허용치는 500PPT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처: selectscience.net, 1월 25일자>
코로나 확산으로 미국 낙농업계가 어려움을 겪고있는 가운데, 우유소비촉진 캠페인인 ‘갓밀크(Got Milk)’가 6년만에 부활했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에 따르면 1월부터 7월까지 다른 유제품과는 달리 우유판매는 전년대비 8.3% 증가했고, 특히 사재기 현상이 일어난 3월에는 21%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이 캠페인을 선도해온 MilkPEP(Milk Processor Education Program)은 갑작스런 판매 증가가 이를 재개하는 좋은 시기라 판단하고 새로운 형태의 광고를 선보이기로 결정했다. ‘우유 콧수염’을 활용한 이전 광고와 달리 이번에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 발맞춰 SNS를 통해 우유를 활용한 창의적이고 재미있는 상황들이 공유되고 있따. 최근 올림픽 수영선수 케이티 레데키는 틱톡을 통해 머리에 우유잔을 얹고 수영하는 영상을 공개하기도 했다. 또한 초콜릿 회사인 허쉬와 협력해 소비자들이 우유(3.8l)와 허쉬 시럽 한병을 함께 구입할 경우 1달러(약 1,180원)을 할인해주는 행사도 진행하고 있다. 한편 ‘갓밀크(Got Milk)’ 캠페인은 계속 줄어드는 우유판매를 다시 끌어올리는데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해 지난 2014년 광고를 중
농림축산식품부는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침체, 소비심리 위축 및 물류 차질에도 불구하고 4월말 기준 농림축산식품 수출액이 23억8,000만불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우리나라 대표 품목인 김치는 그간 지속적으로 케이푸드페어(K-Food Fair) 개최, 우수성 홍보 등을 통해 ‘김치는 건강에 좋은 발효식품’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킴으로써 45.1백만 불 수출하여 전년 동기 대비 30.7% 증가했다. 라면은 미국·중국·일본 등에서 온라인 판촉전과 영화 ‘기생충’과 연계한 마케팅, 소셜미디어·유튜브 방송 등을 활용한 조리법 소개 등으로 194백만 불 수출하여 전년 동기 대비 34.5%가 증가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세계 각국의 이동 제한 조치로 가정 내 소비가 많은 과자류, 소스류는 수출이 증가했으나, 외식업체에서 소비가 많은 음료, 주류의 수출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아세안·유럽연합(EU) 국가는 수출액이 증가하였으나, 일본과 중국은 소폭 감소했다. 미국은 김치, 음료, 라면, 곡류조제품 등 수출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수출액은 35.3% 증가했으며, 아세안과 유럽연합(EU)은 김치, 면류, 과자류, 소스류 등의 수출 증가로 전년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9일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H7N3형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발생함에 따라 해당지역에서 생산된 가금과 가금육의 수입을 10일부터 금지한다고 밝혔다. 미국 농무부는 이번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지난 2017년 3월 미국에서 마지막으로 발생한 HPAI(H7N9) 이후 처음 발생한 것으로 최근 노스/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발생했던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고병원성으로 변이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농식품부 장재홍 검역정책과장은 “올해 들어 HPAI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생함에 따라 국민들께 이들 HPAI 발생지역을 여행 시 축산농가와 가축시장 방문을 자제하고 가축과 접촉하거나 축산물을 가져 오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올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발생한 사우스캐롤라이나주에서 생산된 닭고기는 수입된 적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종 코로나19가 확진자 8,799명에 사망자 102명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고통분담 차원에서 정부 장·차관급이 급여의 30%를 4개월간 공제해서 일괄 성금으로 납부하기로 했다. 국무총리실은 21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비상국무위원 워크숍에서 코로나19로 고통받는 국민들과 고통을 분담하는 차원에서 이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는 21일 18시 30분 현재 전 세계적으로 277,240명이 확진되었고 11,441명이 사망하여 4.13%의 치사율을 나타낼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발생국이 186개국으로 전세계로 확산되었다고 보아야 하는 상황이다. 각국별로 보면 중국이 확진자 81,013명에 사망3,255명, 이탈리아가 확진자 47,021명에 사망 4,032명, 스페인이 확진자 21,571명에 사망 1,093명, 독일이 확진자 19,848명에 사망 68명, 미국이 확진자 19,774명에 사망 275명, 이란이 확진자 19,644명에 사망 1,433명, 프랑스가 확진자 12,612명에 사망 450명에 달해 아주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이탈리아는 하루에 확진자가 5,986명에 사망 627명이 늘어났으며 미국도 하루에 확진자 5,335명에 사망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