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과정에서 발생농장 및 예방적 살처분농장에게 살처분 보상금을 지급하고 최장 6개월까지 농가 생계안정비용을 지원하는 등 농가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는 15일 파주·김포·강화·연천지역의 양돈농가가 받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농…
방역당국이 15일부터 남방한계선(GOP)과 민통선 구간 내 야생멧돼지 출몰·서식지역을 대상으로 포획조치를 개시했다. 이번 포획조치는 국방부, 환경부, 산림청, 지자체 등이 협조해 민간엽사, 군포획인력, 안내간부, 멧돼지 감시장비 운용요원 등 간부 11∼12명으로 구성된 70∼80개 민관군합동포획팀(…
축산단체에서는 야생멧돼지 폐사축에서 ASF 바이러스가 검출됨에 따라 ASF 전파 원인으로 멧돼지가 지목했다. 축산관련단체협의회(회장 김홍길)는“ASF 발병 전부터 야생멧돼지로 인한 전파가 크게 우려됨에 따라사전 방역대책으로 야생멧돼지에 대한 개체수 조절과 관리를 수차례 요구해 왔다”고 강조…
“합리적 보상책마련될 때까지 전국 한돈농가와 함께함께 투쟁할 것” 15일 국회기자회견·17일보상촉구총궐기대회·18일 ASF 피해지역 비대위 집회 “원인 규명없는 집 돼지 무분별 살처분 즉각 중단하라”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정부의 일방적인 특단의 조치로 연천, 강원 접경지역 등에서 시도…
야생멧돼지를 통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막기위해감염위험지역, 발생·완충지역, 경계지역, 차단지역 등 4개 관리지역으로 구분해차별화된 방역 조치를 시행하고군 헬기를 지원받아 DMZ 등 접경지역에서의 멧돼지 예찰과 방역을 더욱 강화하기로 했다. 농림축산식품부·환경부·국방부는 12~13일…
한돈농가들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전파의 최대 복병으로 떠오른 야생멧돼지에 대한 개체수 조절과 지역별 관리대책을 세워줄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한한돈협회(회장 하태식)는 지난 3일 연천 비무장지대(DMZ)에서 발견된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돼 국내 A…
며칠동안 잠잠하던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경기도 연천에서발생했다.14번째 확진농장으로 강원지역과 인접한 곳에 위치해 있어 방역당국이 바짝 긴장하고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9일 경기 북부 중점관리지역 내에 위치한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소재 돼지농장(4,000여두 사육)의 의심축 신고 건에 대한…
정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경기 파주‧김포지역의 모든 돼지를 선수매‧후 예방살처분하기로 결정한데 대해 해당지역 양돈농가들이 “사형선고와도 같은 일방적인 정책은 결코 받아들일수 없다”며 강력 반발하고 있다. 대한한돈협회 경기도협의회는 5일 입장문을 발표…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의심신고된 충남 보령시 천북면 소재 돼지농장에 대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에 대한정밀검사 결과 음성 판정이 나왔다고 밝혔다.
양돈을 가장 많이 사육하고 있는 충남도에서 또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의심축 신고가 접수되어 양돈 농가들이 초긴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달 ASF가 처음 발생하여 13번째까지 발생한 상황에서 이번에는 충남 보령군 광천면 소재 1만2천두 규모 양돈농장에서 의심신고가 되어 전국의 양돈농가들이 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