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단 광역울타리로부터 남쪽으로 4.3km 떨어진 곳서 발생 주변 차단 울타리 긴급설치·집중수색 등 추가 확산 차단 대응강화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5일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덕둔리에서 발견된 멧돼지 폐사체 1개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가 확진됐다고 밝혔다. 발생지점은 연천군, 포천시, 동…
24일부터 제1검정소 등 환적장 통해 후보돈 재입식 하태식 회장 ”다시 희망과 용기갖고 안정적인 농장경영으로 되돌아가자“ 경기·강원지역 ASF피해농가들이 사육을 재개하는 재입식을 11월 24일부터 추진한다. 2019년 9월 17일 첫 확진·살처분으로부터 무려 434일만의 일이다. 재입식은 24일을 시…
중수본, 화천내 돼지·분뇨 농장밖 반출금지 조치도 해제 ASF 발생 시군과 인접한 18개 시군 ‘중점방역관리지구’ 지정 지난 10월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에 따라 잠정 중단됐던 경기·강원 양돈농장 돼지 재입식 절차가 16일부터 다시 재개된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경기·강원 북부 및 인접 14개 시·군 양돈농장 395호와 강원 화천 ASF 발병농장과 역학관계가 확인된 경기지역 농장 2곳을 2차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이하 중수본)는 16일부터 26일까지 접경지역 양돈농장 397호에 대한 ‘제2차 정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본부장 정석찬)는 8일 강원 화천 소재 양돈농장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됨에 따라, 선제적인 방역조치를 위해 경기·강원 지역 멧돼지 출몰지역 인근 양돈농장에 드론을 운용하여 야생동물 기피제를 집중 살포중이라고 밝혔다. 야생동물 기피제는 야생동물의 후각을 자극…
한돈협 “화천 ASF 발생은 환경부의 정책 실패가 원인“ 지적 야생멧돼지 3년간 매년 75% 근절없으면 ASF 비극 매년 반복 지난해 10월 9일 연천 한돈농가에서 ASF가 발생한 후 재발 방지를 위한 한돈농가와 방역 당국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1년 만에 강원도 화천 사육돼지에서 발생했다. 이번 화…
대한수의사회 재난형감염병특별위원회(위원장 조호성)는 “ASF 양성 멧돼지 밀도가 높은 상황에서 집돼지의 재발 가능성은 예견된 것이였다”고 지적하고 농장 관리자에 대한 방역 교육과 수의사의 현장 점검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방역대책을 제안했다. 다음은 대한수의사회의 강원도 화천 양돈장의 아프…
경기·강원 양돈농가 1288호 전화예찰 결과, 특이사항 없어 두번째 확진농장·경기 포천 소재 양돈농장 2곳 예방적 살처분 완료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12일 경기·강원 지역 양돈농가 1288호에 대한 전화예찰을 실시한 결과,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의심되는…
첫 확진농장·10km 이내 농장 2곳 살처분 완료 두 번째 확진농장과 관련된 경기 포천 2곳 예방적 살처분 아프리카돼지열병 중앙사고수습본부는 경기·강원 북부 및 인접 14개 시군 양돈농장 358호(휴업 19, 미사육 15, 살처분 농가 3호 제외, 경기도 244·강원도 114호)에 대해 아프리카돼지열병 정밀검사…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중앙사고수습본부(본부장 김현수 농식품부 장관)는 지난 8일 강원 화천 양돈농장 ASF 발생에 따른 경기·강원 양돈농장·축산시설(도축장·사료공장 등)·축산차량 일시이동중지(Standstill) 명령을, 종전 “10월 9일 오전 5시 ~ 10월 11일 오전 5시”에서 “10월 12일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