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한 농산물 유통의 디지털 전환과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거래 증가로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거래가 확대되고 있다. 다만 여전히 공급자와 판매자 간의 불공정거래, 분쟁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부재, 전문인력 부족, 표준화 및 등급화 미비 등 온라인 농산물 거래에 진입장벽이 존재해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내용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원장 김홍상)의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방안’ 1년차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실태를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를 진행한 김성우 연구위원은 “최근 농산물 유통에 있어 디지털 플랫폼에 기반한 온라인 거래가 확대되고 있으며, 농산물 온라인 거래는 기존 오프라인과의 경쟁을 가능하게 하여 농가의 판로를 다양화시켜 농가수취가격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가구 내 식료품 주 구입자 50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소비자가 신선 청과물을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비중은 최근 빠른 증가율을 보였으며, 향후에도 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의 신선청과물 온라인 소매 유통채널 구매액 비중은 34.1%에 달했으며, 특히 3년 전과 비교해 이 수치는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유통채널을 이용하는 이유는 저렴한 가격, 시간적 자유로움, 배달의 편리성 등으로 조사되었다. 소비자들은 온라인 채널이 구매 편리성, 가격 저렴성, 구매 식품 안전성, 고객 대응 등의 측면에서 오프라인에 비해 유리하고, 신선도와 품질 면에서는 오프라인 채널에 비해 열위에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급 부문에선 농산물 판매조직(농업법인 100개소), 공영도매시장 중도매인(88명), 생산자조직(통합마케팅조직 78개소)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출하 실태를 분석했다. 그 결과 공급 부문에선 코로나19와 더불어 정부의 비대면 거래 활성화 정책으로 인해 향후 온라인을 통한 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온라인 플랫폼 기업과의 거래는 다양한 상품을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수수료, 과도한 단가 할인, 클레임 처리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B2C(Business to Consumer) 기업의 성장으로 다품목 소량 상품의 포장에 강점이 있는 농업법인의 비중이 확대되었으며, 향후에도 농산물 판매조직의 역할은 더 커질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과 영국, 중국 등 사례를 살펴본 결과, 온라인 거래와 오프라인 거래가 대립하는 관계인 O2O(Online to Offline)에서 최근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서로 병행하는 O4O(Online for Offline)로 변화하고 있었다. 이 같은 추세에 대해 연구진은 온라인 거래 성장이 오프라인 거래도 성장시키며, 온라인에서 나타나는 클레임을 오프라인에서 해결하는 등의 온라인-오프라인 상생 방안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유통서비스 활성화 기본 방향으로 △유통채널 간 경쟁 관계를 통한 농가소득 제고 △온라인 거래의 공정한 질서 확립 △온-오프라인의 상생발전을 제시했다.
생산 부문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거래를 위한 산지유통 전문단지 도입’과 ‘온라인 플랫폼 거래를 위한 산지유통시설 및 정책방향 재편’을 제안했다. 그동안 농산물이 도매시장을 중심으로 대형유통업체나 단체 급식으로 유통되었으나, 최근 온라인 등 다양한 유통경로가 생겨났으며 산지의 대응도 이에 맞게 변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지역 및 품목 특성에 따라 산지유통 전문단지를 도입해 전문농가를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산지유통 정책도 산지의 판매 규모화에서 다양화로 병행 추진해야 하며, 농산물 온라인 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가공시설, 소포장, 꾸러미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통 부문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광역 농산물 전문 판매조직 육성’을 강조했다. 정부 지원으로 육성한 통합마케팅조직의 구분 기준이 단순한 행정 단위여서 적재적소에 맞는 농산물을 공급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행정단위의 광역이 아닌 시도를 넘는 넓은 의미의 광역 단위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농산물 전문 판매조직 육성을 제안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 거래를 위한 농산물 표준화 및 등급화’와‘온라인 플랫폼 거래를 위한 통합 물류 확대’를 통해 지역을 기반으로 물류를 통합하거나, 전문판매조직을 중심으로 물류를 통합하는 방안을 강조했다.
소비 부문에서는 ‘온라인 B2C를 이용하는 소비자를 위한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온라인 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온라인 B2C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특성과 경향을 분석해 맞춤형 전략을 마련하고 정책적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비스 부문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과 ‘온라인 플랫폼 활용 가능한 전문인력 체계 육성’을 제안했다. 또한, ‘공영 온라인 B2C 플랫폼의 재편 및 구축’을 강조했는데, 공영 온라인 B2C 플랫폼을 통한 거래 확대를 통해 민간 온라인 B2C의 독점적 지위를 통한 과도한 수수료 등에 최소한의 견제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