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정읍에 사는 ㄱ씨가 한우 1마리를 키우는 데 31개월이 걸린다. 사료비만 따져도 287만 원으로, 소 값의 37% 수준이다. 사육 기간을 줄이고 싶어도, 혹시라도 육질·육량 등급이 떨어지거나 고기 맛이 달라져 수익에 영향을 주게 될까 걱정돼 마지못해 장기 비육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한우농가들은 마블링이 많은 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평균 31개월간을 키우는 고비용 사육을 하고 있는게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수입육과의 품질 차별화는 확실히 성공했는지 모르지만 사료비 비중이 미국산 소고기보다 1.7배 높은게 문제였다. 1마리당 생산비 23만원을 더 쓰고있는셈.
이로 인해 우리나라 소고기 자급률은 가격 경쟁과 수입 소고기의 관세 인하 등으로 2013년 50.1%에서 2017년 41%로 떨어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청장 라승용)이 출하기간을 앞당겨 28개월에 출하해도 맛과 풍미, 육질과 육량을 그대로 유지하는 ‘한우 사육 기술’을 개발, 특허출원하고 최근 산업체와 생산자단체에 이전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사육 단계마다 영양소 함량을 정밀 조절하는 것으로, 비육 기간이 기존 31개월에서 28개월로 3개월 짧아졌다. 그간 개량된 한우의 생산 특성을 고려해 육성기(6∼14개월)와 비육기(15∼28개월)에 단백질과 에너지 함량을 조절해준다.
연구진이 이 기술로 키운 28개월 한우를 도축해 육량과 육질을 분석(도체중 446kg, 근내지방도 5.9)한 결과, 우리나라 평균 출하월령인 31.1개월 한우 성적(443.6kg, 5.8)과 비슷하게 나타났다. 전자혀와 맛 관련 물질 분석, 전문가 시식 평가에서도 28개월 한우는 단맛, 감칠맛, 풍미 면에서 31개월 한우와 별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한우 1마리당 생산비를 23만5,000원 정도 줄일 수 있다. 국내 거세한우 전체에 적용하면 한 해에 약 936억 원가량 생산비 절감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생산비가 줄어들면 소비자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한우고기를 즐길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축산과학원 양창범 원장은 “한우고기 품질은 높이고 생산비는 낮추는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를 이어나갈 것이며,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만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또한, 수입 소고기와 차별화한 한우고기 생산으로 자급률을 높이고 국제 경쟁력을 확보해 수출 시장 확대에도 힘쓰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