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이하 농진청)과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하 농진원)은 6일부터 7일까지 이틀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및 시르다리야 지역에서 ‘K-낙농기술 국제 콘퍼런스’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콘퍼런스는 한국의 우수 낙농기술을 홍보하고, 중앙아시아 독립국가연합(CIS) 시장 진출을 위한 수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는 우즈베키스탄 시르다리야 주 주지사, 수의축산위원회 위원장, 축산연구소 소장 등 중앙아시아 4개국(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의 정부 관계자를 비롯해 현지 바이어, 축산농가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했다.
우즈베키스탄은 2023년 기준 축산업이 국내총생산(GDP)의 13%, 농업 GDP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목축산업 비중이 높은 국가다. 그러나 단위 젖소의 산유량은 한국의 1/4 수준에 그쳐 기술 격차가 크다. 이에 따라 한국의 낙농기술은 우즈베키스탄 축산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주요 협력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농진청과 농진원은 우수 낙농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의 우즈베키스탄 시장 진출 가능성을 확인하고, 올해 현지에서 ‘K-낙농 기자재 패키지 실증사업’을 착수했다.
이번 실증사업에는 △젖소 수정란 △발정주기 조절용 호르몬제 △젖소 대사성 질병(케토시스) 예방용 사료첨가제 △송아지 설사 예방 백신 등 9개 제품이 포함됐다. 해당 제품들은 우즈베키스탄 축산연구소 직영농장 등 3개 젖소농장에서 효과성 검증을 진행 중이다.
콘퍼런스 기간 동안에는 실증사업 참여 제품에 대한 설명회, 젖소 수정란 이식 시연회, 수출상담회 등이 열렸다. 현지 정부 관계자와 농가들의 관심이 높았으며, 한국 낙농기술의 우수성과 상업적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졌다.
우즈베키스탄 축산연구소 아잠존 소장은 “한국과의 기술 교류가 우즈베키스탄 축산 산업의 고도화와 우유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양국이 지속가능한 협력을 통해 함께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안호근 농진원장은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우즈베키스탄 정부와 농가의 기술협력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우리나라 낙농 기자재 수출기업이 중앙아시아 시장으로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