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자조금, 지속가능한 우유급식 확대 필요성 제기
청소년기 꾸준한 우유섭취, 장년기 당뇨병 발병률 30~40% 낮춰
교육 현장과 낙농업계, 정부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 조속 마련돼야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위원장 이승호)는 최근 일부 영양교사 단체가 과도한 행정업무를 이유로 학교 우유급식 제도 개선을 주장하는 것과 관련, 이는 학생들의 건강권과 국내 낙농산업의 생존 기반을 위협하는 무책임한 주장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우유급식률이 2019년 50.3%에서 2023년 33.9%로 4년 만에 16.4% 가량 떨어지면서 우유급식 확대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학교 우유급식은 OECD 국가 중 칼슘 섭취 부족률이 높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에게 필수 영양소를 공급하는 공공 영양 정책의 핵심축이다. 특히 우유는 성장기 뼈 성장에 필수적인 칼슘을 가장 효과적으로 공급하며, 미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 게재된 연구자료에 의하면 청소년기부터 꾸준히 우유를 섭취할 경우 장년기 제2형 당뇨병 발별률을 30~40% 낮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실제로 우유는 칼슘 이외에도 인, 단백질, 비타민, 비타민 D, 마그네슘을 비롯한 114종의 영양소를 함유한 대표적인 완전식품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영양소는 뼈 성장, 신체 기능 유지, 신경계 안정, 수면의 질 개선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성장 발달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어린이와 청소년 시기에는 충분한 우유 섭취가 뼈와 근육 형성, 인지 발달, 정서적 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인기 건강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에도 결정적이다. 따라서 성장기의 우유 섭취는 단순한 영양 보충을 넘어 전반적인 건강 증진과 장기적인 발달에 있어 필수적인 의미를 지닌다.
우유급식은 또한 학생들에게 올바른 식습관을 길러주는 중요한 교육적 역할을 한다. 일부에서 제기하는 ‘영양 과잉’ 주장은 당류와 가공식품 과잉 섭취 등 잘못된 식습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오히려 우유는 이러한 영양 불균형을 바로잡는 데 필수적이다. 학생들의 건강권을 담보로 교사의 편의를 우선시하는 것은 무책임하다는 학부모들의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더불어, 학교 우유급식은 국내 원유 수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낙농산업을 지탱하는 버팀목이다. 우유 소비 둔화로 수많은 낙농가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우유급식이 축소·폐지될 경우, 국내 낙농 기반 붕괴는 물론 지역 경제와 안정적인 국산 유제품 공급망에도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
우유자조금관리위원회는 “우유급식을 두고 책임 소재를 논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소년들의 건강을 담보로 잡는 행위와 다름없다”며, “청소년들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해서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보다 효율적인 우유급식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가 연말까지 관련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만큼, 교육 현장과 낙농업계, 정부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